이들은 “현재까지 50여개 쌍용차 협력업체가 줄도산하고 3천400명이 넘는 노동자가 일자리를 잃었다”며 “더 이상의 고통이 수반된다면 쌍용차와 연관된 20만개의 일자리에 절망만 남게 된다”고 우려했다.
쌍용차노조도 이날 별도의 보도자료를 내고 “앞서 회생안이 부결되면서 정부지원 등 자금조달 기일이 유예됐고, 그 결과 신차 출시가 지연돼 노동자들의 휴업상태가 길어지고 있다”며 “쌍용차 노동자와 협력업체 노동자의 삶이 달린 회생안은 반드시 통과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금속노조를 비롯한 노동계는 회생안에 쌍용차 해고자와 무급휴직자 등에 대한 고용대책이 포함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금속노조 관계자는 “현재의 회생안에는 해고자 등에 대한 고용대책, 기술유출 당사자인 상하이자동차와 기술유출을 방조한 경영진에 대한 제재조치 등이 빠져 있다”며 “파업이 종료된 뒤에도 손배배상·가압류와 구속·징계로 고통받는 노동자와 그 가족에 희망을 줄 수 있어야 진정한 회생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