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를 비롯한 노·사·민·정 관계자들이 법원을 상대로 쌍용차 회생 인가를 촉구했다. 김규한 쌍용차노조 위원장과 이유일·박영태 공동관리인, 송명호 평택시장·김봉한 노동부 평택지청장·우관재 쌍용차사랑본부 상임의장은 쌍용차 회생 인가 여부를 가리는 관계인집회를 하루 앞둔 10일 공동선언문을 내고 “쌍용차 회생은 평택시와 인근지역의 고용대란을 막는 지름길”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현재까지 50여개 쌍용차 협력업체가 줄도산하고 3천400명이 넘는 노동자가 일자리를 잃었다”며 “더 이상의 고통이 수반된다면 쌍용차와 연관된 20만개의 일자리에 절망만 남게 된다”고 우려했다.

쌍용차노조도 이날 별도의 보도자료를 내고 “앞서 회생안이 부결되면서 정부지원 등 자금조달 기일이 유예됐고, 그 결과 신차 출시가 지연돼 노동자들의 휴업상태가 길어지고 있다”며 “쌍용차 노동자와 협력업체 노동자의 삶이 달린 회생안은 반드시 통과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금속노조를 비롯한 노동계는 회생안에 쌍용차 해고자와 무급휴직자 등에 대한 고용대책이 포함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금속노조 관계자는 “현재의 회생안에는 해고자 등에 대한 고용대책, 기술유출 당사자인 상하이자동차와 기술유출을 방조한 경영진에 대한 제재조치 등이 빠져 있다”며 “파업이 종료된 뒤에도 손배배상·가압류와 구속·징계로 고통받는 노동자와 그 가족에 희망을 줄 수 있어야 진정한 회생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