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신용-경제사업 분리(신경분리) 문제가 결국 농협중앙회의 ‘2단계 신경분리’방안으로 일단락됐다. 하지만 신경분리 반대를 주장하던 금융노조 농협중앙회지부 조합원 6명이 경찰에 연행되는 등 후유증은 남았다.

농협중앙회는 27일 임시대의원대회를 열고 사업구조 개편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 개편안은 2012년 신용사업 부문을 금융지주회사로 독립시킨 뒤 경제사업은 2015년 경제지주회사로 분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농협은 또 경제사업 분리 시 자립 기반을 닦으려면 9조6천억원 가량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 중 6조원을 정부가 지원해줄 것을 요구하기로 했다. 부족 자본금에 대한 정부 지원을 농협법에 명시해줄 것도 요구했다. 나머지 3조6천억원은 조합원 추가 출자와 자체 수익금 등을 통해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농협은 농협중앙회의 명칭은 그대로 유지하고 상호금융 부문은 상호금융연합회로 가자는 농협개혁위원회 안과 달리 현행대로 하되 전담 대표이사를 두기로 했다.

농협은 2~3일 안에 이 안을 정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이후 정부와 국회 주최의 공청회가 진행되고 내년 2월 임시국회 본회의에 상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농·축협 관련 4개 노조로 구성한 ‘반농협·반협동조합 신경분리 저지 공동투쟁본부’는 지난 26일에 이어 이날도 대의원대회 개최에 강력 항의했다. 이 과정에서 항의하던 금융노조 농협중앙회지부 간부 등 6명이 경찰에 연행됐다. 경찰은 지난 26일 오전 7시께부터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 본관 주변에 20개 중대를 동원해 농협중앙회 직원을 제외한 이들의 출입을 막았다.

남기용 금융노조 농협중앙회지부 위원장은 “신경분리를 막기 위한 투쟁은 끝나지 않았다”며 “앞으로 국회 입법과정에서 신경분리에 대한 부당성을 적극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