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정부와 산업은행이 1천500억원에 달하는 신차개발비를 지원할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제3자 인수 여부에 촉각이 쏠리고 있다.
◇자금·매각 계획 빠진 회생안=쌍용차가 이날 내놓은 회생안은 채무변제 방안에 초점이 맞춰졌다. 신차 개발·출시 자금의 확충이나 시중에 떠도는 인수·합병(M&A)에 대한 내용은 사실상 빠져 있다. 회생안이 인가되더라도 험로가 예상되는 부분이다.
최근 쌍용차 인수계획을 밝힌 바 있는 박윤배 서울인베스트 대표는 이날 <매일노동뉴스>와의 통화에서 “특별한 변수가 없다면 이번 회생안이 그대로 통과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인수계획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사모펀드 투자회사 인수설이나 쌍용차측이 이날 밝힌 '중국과 러시아를 제외한 제3국 인수설' 등이 기업의 불확실성만을 부추길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종탁 산업노동정책연구소 부소장은 “회사측이 밝힌 제3국도 따지고 보면 후발국가 후발업체에 불과할 것”이라며 “불확실성을 높이는 설왕설래는 상황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산업적·장기적 전망 제시돼야”=쌍용차가 경쟁력을 되찾을 때까지 정부가 운영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섣불리 M&A를 추진하지 말고 시간을 갖는 편이 낫다는 견해다. 정명기 한남대 교수(중국통상·경제학부)는 “현재 상황에서는 출자전환을 통해 산업은행이 대주주가 돼야 M&A 등에도 속도가 붙을 것”이라면서도 “재무적 투자자든 전략적 투자자든 이익을 낸 뒤 회사를 되팔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당분간은 정부가 쌍용차를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노동계에서 제기했던 ‘쌍용차+GM대우’ 묶기 전략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지금이라도 시작하자는 견해도 있다. 이종탁 부소장은 “정부가 외자기업의 문제를 정리하고, 자동차산업의 미래를 모색하는 차원에서 이제라도 사회적 대화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나 재계가 ‘주인 찾아주기식’ 매각을 고집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구은회·오재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