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 600여개 협력업체로 구성된 협동회 채권단이 5일 예고대로 쌍용차 조기파산을 법원에 신청했다. 오유인 채권단장과 최병훈 채권단 사무총장 등 협동회 관계자들은 이날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 파산4부에 '쌍용차에 대한 회생절차폐지 및 조기파산절차 이행요청서'를 제출했다. 협동회는 "이날 오후 4시까지 도장2공장이 탈환되지 않았기에 조기파산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채권단은 노사 양측을 상대로 100억원 상당의 손해배상 청구소송도 제출할 예정이었으나 소송비용 부담 등을 이유로 제기하지 않았다. 채권단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쌍용차의 회생을 원하지만 현재로서는 요원하고 우리 같은 중소기업들은 더 이상 버틸 힘이 없다"며 "쌍용차의 우량 자산을 남기고 직원들이 힘을 합쳐 새로운 법인을 설립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쌍용차 협력업체들이 보유하고 있는 채권은 약 3천억원 정도다. 올해 1월 쌍용차가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가기 전에 납품대금으로 결제한 채권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쌍용차의 우량 자산과 부실 자산을 분리에 '굿 쌍용'이라는 새로운 법인을 설립하고 제3자에 매각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하지만 부실자산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고 굿 쌍용을 인수할 제3자를 찾기도 마땅치 않아 회의적인 시각도 많다.

미국 정부가 제너럴모터스(GM)를 '뉴 GM'으로 분리해 회생시키는 과정에서 막대한 공적자금을 투입한 것처럼 우리나라 정부가 지원을 고려할 수도 있지만 기획재정부나 산업은행 모두 아직까지는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또 정부가 정리해고를 막기 위한 사전지원은 외면했으면서도 굿 쌍용에 공적자금은 투입한다면 ‘결국 정리해고를 위한 청산 아니었냐’는 비난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