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근로에 참여한 당사자들은 불만이 많다. 상품권 가맹점이 한정돼 있는데다가 사용기간과 사용지역도 제한돼 있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상품권의 유통기한은 3개월이다. 사용지역도 해당 지방자치단체 내로 한정돼 있다. 사용처도 전통재래시장·약국·슈퍼·주유소·식당 등으로 제한된다.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학원·유흥주점 비용이나, 공공요금을 내는 데는 사용할 수 없다. 다만 농촌지역의 경우 자체 추진위원회에서 결정하기로 했다.행안부 홈페이지에는 벌써부터 불만의 목소리가 올라오고 있다. 강남지역에서 희망근로를 하고 있다는 한 네티즌은 “다산 콜센터와 동사무소, 강남구청에 가맹점을 물어봤지만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는 답변만 받았다”며 “25만원은 우리에게 적지 않은 돈인데 상품권을 받으면 도대체 어디에 써야 하냐”고 토로했다.
실제 가맹점 신청률이 당초 예상보다 저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25일 현재 전국적으로 상품권은 17만5천552곳, 기프트카드는 85만2천곳이 신청했다. 서울 영등포구의 경우 25일 현재 가맹점 신청수가 1천여곳이다. 애초 목표는 6천곳. 월급날이 열흘 앞으로 다가왔지만 목표치의 20%에 불과한 실정이다.
영등포 일대에서 희망근로에 참여하고 있는 김아무개(52)씨도 “대부분 가맹점이 식당이나 재래시장인데 식구가 적어 식비로 25만원이나 쓰지는 않는다”며 “상품권을 다 사용하지 못하면 나머지는 버려야 하는 거 아니냐”고 말했다.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부담이 공무원들에게 떠넘겨지는 실정이다.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상품권 사 주기 캠페인이 벌어지고 있다.
정부에 따르면 대구시와 충북 음성·옥천군, 경기도 연천군 등 4개 지역에서 공무원들이 희망근로 참가자에게 지급될 상품권을 구입했다. 음성군의 경우 공무원 686명이 4억3천만원을, 옥천군은 619명이 2억800만원 상당의 상품권을 구입하기로 했다. 부산 등 8개 지역에서도 캠페인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재학 전국공무원노조 음성군지부장은 “어려운 사람을 돕는다는 취지에서 상품권 구입에 동의했지만 정부 정책에 문제가 있다”며 “지역자영업자나 공무원 모두 불만이 많다”고 말했다.
지역경제 살리기 효과에도 의문을 제기했다. 김 지부장은 “군에서 발행하는 지역사랑상품권 시행 경험으로 볼 때 희망근로 상품권도 지방경제 살리기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음성군은 지역상품권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현금으로 바꾸기 위해 갖가지 방법이 동원되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지방의 경우 가맹점이 적다보니 활용도도 그리 높지 않다고 했다. 재래시장은 너무 영세해 상품권 사용이 가능할지 의문이라는 것이다.
음성군 관계자는 “상품권 효과가 아예 없다고는 볼 수 없다”며 “제도를 시행하면서 보완하면 취지를 잘 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