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재환(52·사진) 금속노련 위원장이 지난해 위원장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데 이어 지난 7일 위원장 선거에서 재선했다.
변 위원장은 ‘금속노동운동의 변화와 혁신을 위한 금속노동자개혁연대(금속개혁연대)’ 하헌준 후보와의 경선을 “서로에 대한 비방이 없어 혼탁하지 않았던 아름다운 경선”이라고 평가했다.

변 위원장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구분을 두지 않고 조합원을 위한 현장활동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그는 상생의 노사관계를 강조했지만, ‘전임자임금 지급금지와 복수노조 허용’ 문제에 대해서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변 위원장은 특히 “전임자 임금은 노사자율로 결정해야 하지만 기업별 복수노조는 허용되면 안 된다”며 “기업별노조 위원장부터 연맹 위원장, 모든 노조 지도부가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활을 걸어야 한다”고 못 박았다. <매일노동뉴스>는 18일 서울 구로구에 있는 금속노련 위원장실에서 변 위원장을 만났다.

"원·하청 불공정거래 개선 시급"

변 위원장은 3년 임기 동안 자동차산업의 원·하청 불공정거래를 개선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원청업체의 무리한 단가인하(Cost Reduction) 압력이 정리해고를 초래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금속노련의 경우 중소업체들이 많은데 완성차 부품업체가 전체 사업장의 35%를 차지한다.
“대기업이 일방적으로 하청업체에 단가인하를 요구하는데 그래선 안 됩니다. 회사마다 사정이 다릅니다. 원·하청 업체가 협의해야 하는 제도를 만들어야 합니다.”

“노사상생의 경제학 만들어야”

최근 경제위기 국면에서 노동자들의 고용불안이 심각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실업자는 93만3천명으로 100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변 위원장은 “올해 초 한국노총이 노사민정 대타협을 한 것은 조합원 고용유지 때문”이라며 “경제가 안정되기 전까지 노동시간을 줄여 고용을 보장하는 등 노사가 서로 양보해 상생의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비정규직 문제 해결에 사업장별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동부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시기인 7월에 100만명의 고용대란이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비정규직 사용기간을 현행 2년에서 4년으로 연장하는 내용의 비정규직법 개정안을 내놓았다. 변 위원장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은 필요하지만 정규직 전환이 일괄적으로 진행하면 일부 사업장에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변 위원장은 그러나 노동부의 최근 행보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비정규직법 문제나 공공기관 선진화방안,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 문제를 추진하면서 노동계와 협의절차를 제대로 진행하지 않았다는 비판이다. 그는 “노동부 관계자들이 현장을 너무 모른다”며 "현장을 알고 나서 정책을 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임자임금 해결 못하면 책임져야”

변 위원장은 전임자임금은 노사자율에 맡기고, 복수노조 허용은 안 된다고 했다. 그는 "정부의 의도대로 전임자임금, 복수노조 관련 법 개정이 진행된다면 모든 노조 지도부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복수노조 허용은 현장에서 노노갈등을 유발할 뿐”이라고 덧붙였다.
변 위원장은 지난해 연맹이 폐지한 산별노조 전환방침에 대해 "(복수노조 시행 등) 때가 되면 조합원들이 (산별노조 전환을) 원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맹에 소속된 조합원들이 아직은 산별노조로 전환할 때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연맹의 사업방향은 조합원들에 의해 결정되는 것입니다. 앞으로 연맹 위원장이라는 직책에 구속되지 않고 현장순회를 많이 하면서 조합원의 목소리를 들을 생각입니다.”

변재환 금속노련 위원장 약력
57년 부산 출생
86년 LG전자노조 구미1지부 대의원
91년 LG전자노조 구미지부 부지부장
94년 LG전자노조 구미지부 지부장
97∼2008년 LG필립스LCD(현 LG디스플레이)노조 위원장
2008년 5월 금속노련 위원장 보궐선거 당선
2009년 5월 금속노련 위원장 당선
 
 
<2009년 5월19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