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선배치란 '영업실적 부진' 등을 이유로 노동자를 이른바 '일선'이 아닌 별도 부서로 자리를 옮기게 하는 것이다. 후선배치된 이들은 6개월가량 강도 높은 평가를 받는다. 실적이 좋아지면 원래 부서로 돌아가지만 나아지지 않을 경우 일자리를 잃기도 한다.
23일 노동계에 따르면 후선배치 형태로 구조조정을 진행하거나 계획 중인 사업장은 금융감독원·한국투자증권·우리투자증권·한양증권 등이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까지 매년 3~5명을 '업무추진역'으로 배치했는데, 올해는 전체 정원의 10%인 30명가량으로 해당 인원을 늘릴 계획이다. 금감원은 '근무태도가 불성실한 직원' 등을 매년 3~5명 정도 뽑아 6개월 뒤 평가를 통해 복귀조치를 하거나 대기발령을 냈다. 전형적인 후선배치를 통한 인력감축이다.
박철수 금감원노조 위원장은 "일자리 유지를 위해 신입사원 초임 삭감과 임금동결에 노사가 합의했다"며 "인건비는 인건비대로 절감하고 인력감축까지 하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증권가에도 후선배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투자증권은 23일 현재 '리테일RM부서'라는 별도 부서를 만들어 지점장 7명 등 16명을 배치했다. 한국투자증권도 '종합영업직군제' 시행을 추진 중이며, 한양증권 역시 비슷한 문제로 노사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김성호 우리투자증권노조 수석부위원장은 "회사가 정리해고 요건도 안 되는 상황에서 상시적인 인력감축을 위해 후선배치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제 2금융권의 후선배치는 노동계 우려에도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경영계가 인사평가를 통한 후선배치는 '경영권'이라고 주장하고 있고, 법원도 대체로 경영계의 손을 들어주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경영계는 분쟁과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정리해고에 비해 동일한 효과를 내면서도 부작용이 적다는 이유로 인사평가를 통한 해고를 선호하고 있다.
노동계 관계자는 "후선배치가 노동조건이나 경제적 지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후선배치 등이 단체교섭 대상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매일노동뉴스 3월24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