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통업 노동생산성이 미국의 25%에 불과해 소비활성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3일 발표한 ‘소비활성화 방향과 유통기업의 역할’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유통산업 종사자들은 2007년 평균 1만9천500달러의 부가가치를 생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수치는 미국(7만6천800달러)의 25.4%, 일본(5만3천300달러)의 36.6%에 해당한다.

대한상의는 “국내 유통산업의 저생산성은 ‘고비용·저효율 구조→소비수요 침체→유통·제조기업 매출 감소→일자리 감소→가계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소비활성화의 걸림돌이 된다”고 주장했다.
유통산업 노동생산성이 낮은 이유에 대해 대한상의는 “생계의존형 영세사업체가 많고 판매시점관리시스템 보급률이 14%에 불과해 유통정보화율이 매우 낮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대한상의는 이어 “영세업체들이 조직화에 대한 의식이 부족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 중소유통업 조직화율은 29.4%다.

대한상의는 소비불황을 타개하기 위해 90년대 미국의 소비주도형 경제전환 사례를 벤치마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90년대 후반 규제개혁과 정보기술(IT)을 활용해 유통기업 생산성 향상을 꾀했다. 지난 96~97년 전 산업 평균노동생산성 증가분 1.4% 중 유통산업의 기여도가 대부분을 차지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매일노동뉴스 3월4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