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3일 발표한 ‘소비활성화 방향과 유통기업의 역할’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유통산업 종사자들은 2007년 평균 1만9천500달러의 부가가치를 생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수치는 미국(7만6천800달러)의 25.4%, 일본(5만3천300달러)의 36.6%에 해당한다.
대한상의는 “국내 유통산업의 저생산성은 ‘고비용·저효율 구조→소비수요 침체→유통·제조기업 매출 감소→일자리 감소→가계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소비활성화의 걸림돌이 된다”고 주장했다.
유통산업 노동생산성이 낮은 이유에 대해 대한상의는 “생계의존형 영세사업체가 많고 판매시점관리시스템 보급률이 14%에 불과해 유통정보화율이 매우 낮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대한상의는 이어 “영세업체들이 조직화에 대한 의식이 부족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 중소유통업 조직화율은 29.4%다.
대한상의는 소비불황을 타개하기 위해 90년대 미국의 소비주도형 경제전환 사례를 벤치마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90년대 후반 규제개혁과 정보기술(IT)을 활용해 유통기업 생산성 향상을 꾀했다. 지난 96~97년 전 산업 평균노동생산성 증가분 1.4% 중 유통산업의 기여도가 대부분을 차지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매일노동뉴스 3월4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