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운송업계와 택시노련 등에 따르면 택시노사와 버스·화물업계, 소비자연대, 장애인단체는 지난 13일 서울 역삼동에 위치한 택시연합회에서 모임을 개최했다. 이들은 석유제품 공급사 가격담합 및 폭리로 인한 소비자의 피해가 심각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공동대응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석유공사의 주유소 종합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이날 현재 전국 주유소의 평균 휘발유가격은 1천500원대에 육박하고 있다. 최근 들어 하루에 리터당 2~4원씩 인상되고 있는 추세다. 지난 1~2월 동결된 LPG가격은 환율상승 요인으로 다음달 대폭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택시노련은 “국내 석유제품 수입사정유사가 국제 금융위기로 인한 환율 급등과 국제유가 상승에 대해 경영상 고통분담이나 비용절감 노력도 하지 않고 유류원가에 모든 제반비용을 포함시켜 소비자에게 전가하고 있다”며 “대체연료가 없는 소비자에게 출혈을 강요하고 있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이러한 원인은 공급사의 자율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97년 도입한 유가자유화가 SK 등 4개 대기업이 독과점하는 시장체제 하에서 시행됐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운송업계 노사는 조경태 민주당 의원 등이 추진하고 있는 석유제품 가격 안정화를 위한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사업법’ 개정을 지지하고, 적극적인 활동을 벌인다는 계획이다.
한편 지식경제부는 'LPG 거래제도 개선안'을 통해 환율 급등시 수입하는 LPG 가격이 한꺼번에 폭등하지 않도록 민간업체가 환차손의 영향을 여러 달에 걸쳐 분산 반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매일노동뉴스 2월19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