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행 민주노총 위원장이 노사정 전문가가 뽑은 2007년 올해의 인물에 선정됐다. 지난해 1위를 차지했던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은 2위를, 이상수 노동부 장관이 순위 변동 없이 3위를 차지했다.
 
<매일노동뉴스>가 지난 12~16일 노사정 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답변자 100명 가운데 72명이 올해의 인물로 이석행 위원장을 꼽았다. 이용득 위원장이 68명의 지목을 받아 2위, 이상수 장관이 58명으로 3위를 차지했다.

이석행 위원장은 올해 2월 임기를 시작한 뒤 처음 순위권에 진입해 전체 1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지난해 민주노총 위원장이었던 조준호 전 위원장은 당시 2위였다.

현장 대장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이랜드와 코스콤 등 비정규직 논란의 핵심에 자리했다는 방증으로 보인다. 동시에 노출이 그만큼 잦았다는 것과도 일맥상통한다. 파격적인 발언도 주목받았다. 재벌 총수들과 잇따라 만남을 제의하고 각 부처 장관에게도 면담을 제안하는가하면 내년에는 가스∙발전∙철도 등을 멈춰 총파업을 감행하겠다고 예고해 언론의 조명을 받았다.

이용득 위원장은 2위로 순위가 한 계단 밀리기는 했지만 민주노총을 제외한 모든 그룹에서 1위를 기록할 정도로 여전한 지명도를 자랑했다. 임기가 마무리 국면으로 접어들었지만 정책연대를 추진력 있게 밀어붙이는 과단성을 보였다. 정책연대를 추진하기 위해 50만여명의 조합원 명부를 확보한 것은 노동계에서 처음 있는 일이다.

이상수 장관은 비정규직 문제를 비롯해 장기투쟁 사업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등 정치인 출신 장관이 가질 수 있는 장점을 최대한 발휘했다는 평을 듣고 있다. 이석행 위원장과 수차례 만나해결책을 논의하는 파격을 보여주기도 했다.

비정규직 문제를 사회 쟁점으로 부각시킨 김경욱 이랜드일반노조 위원장이 4위를 기록한 점은 눈여겨볼 만한 대목이다. 비정규 노동자가 10위권 안에 진입한 것은 지난해 민세원 KTX 승무지부장이 처음으로 공동 8위를 기록한 바 있다. 무려 4계단이나 뛰어올랐는데 그만큼 비정규직문제가 뇌리에 깊게 각인됐다고 해석할 수 있다. 실제로 올해 본지가 조사한 10대 노동뉴스에서도 1위는 지난 7월 시행된 ‘비정규직법’이 차지했다.

다음으로 이수영 경총 회장이 5위를, 민주노동당 대통령 후보였던 권영길 의원이 6위를 차지했고 이원보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과 노무현 대통령이 뒤를 이었다. 17대 대통령에 당선된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는 9위, 역시 한나라당에서 대통령 선거전을 이끈 홍준표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이 10위로 선정됐다.
 
관가 인물의 약진도 두드러졌다. 올해 선임된 이원보 중노위원장이 처음으로 10위권으로 진입했고 노무현 대통령도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조사에서 김유성 당시 중노위원장이 30위권을 기록했고 노무현 대통령이 순위권에서도 제외됐다는 것을 감안하면 놀랄 만한 약진이다. 이원보 위원장의 경우 노동계 출신으로 기대를 한몸에 받았지만 철도노조 파업 직권중재와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성희롱자 복직 판정으로 논란의 장본인이 되기도 했다.

10위권 밖으로는 국회 환노위에서 활약하고 있는 단병호 민주노동당 의원이 11위에 선정됐다. 노동부에서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로 자리를 옮긴 김성중 위원장과 반FTA 파업을 이끌었던 정갑득금속노조 위원장은 공동 12위를 기록했다. 김영배 경총 부회장과 이철 철도공사사장, 이상욱 금속노조 현대차지부장이 공동 14위로 이름을 올렸고, 이어 박양수 뉴코아노조 위원장, 고 정해진 인천전기원노조 조합원, 김성환 삼성일반노조 위원장이 공동 17위를 기록했다. 고 장진수 한국노총 조직국장은 20위를, 황영수 코
스콤비정규지부장이 21위를, 문국현 창조한국당 후보와 심상정 의원이 공동 23위를 차지했다. 한미FTA 협상 중단을 요구하며 분신했던 고 허세욱 민주택시 조합원의 경우 본지의 실수로, 제시된 예시명단에서 제외됐지만 3명이 올해의 인물로 직접 작성하기도 했다.
 
한편 올해의 인물로는 지난 2002년 권영길 민주노동당 대표, 2003년 김주익 열사,2004년과 2005년 당시 이수호 민주노총위원장, 2006년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이 선정된 바 있다.
 
<매일노동뉴스> 2007년 12월 28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