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산업단지(국가공단)의 효시는 65년부터 조성된 서울 구로와 인천 주안․부평이다. 이 전에는 산업입지와 관련된 국가정책이 없어 기업이 알아서 입지를 선정하고 공장을 지으면 됐다. 62년 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이 수립되고 수출을 늘리기 위해 경공업을 육성하면서 구로와 주안․부평에 수출공업단지가 조성됐다.
70년대는 중화학공업 육성을 통한 수출증대가 국가전략이었다. 창원기계공단, 마산과 익산 수출자유지역, 울산석유화학공단, 옥포산업기지, 군산, 순천, 포항, 반월 등의 공업단지, 진주 상평공단 등이 모두 이때 만들어졌다. 수도권 개발을 억제하면서 지방에 대규모 산업단지를 조성한 시대였다. 물론 대부분 영남의 임해지역이긴 했다.
80년대에는 심화되는 지역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해 농공단지 등 중소규모 공단이 각 지역에 조성된다. 90년대에는 서해안 중심으로 대규모 산업단지 개발이 추진돼 군산과 아산 등에 국가산업단지가 개발됐다. 외국인기업을 위해 천안, 광주평동, 대불외국인단지가 지정됐다. 무엇보다도 지방자치제가 시작된 후에는 지방산업단지의 70%가 이때 만들어졌다. 이들 중 일부는 수요를 무시한 입지선정으로 아직까지 미분양 상태로 방치돼 있다.
90년대의 또 다른 특징은 과학기술산업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해 광주첨단단지와 부산, 대전, 오창 등 6개 지역에 지방과학산업단지가 조성된 것.
2000년대 들어서는 지식기반산업과 함께 벤처기업 육성이 화두였다. 하드웨어 중심의 공업배치 정책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의 클러스트 활성화 정책으로 선회했다. 더 이상 국가산업단지는 추가로 지정되지 않고 있다. 도시첨단산업단지와 문화산업단지, 혁신클러스트 등이 조성됐다.
<매일노동뉴스> 2007년 5월 28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