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의 개헌 제안으로 정치권이 어수선한 가운데 민주노동당은 민생과제와 한미FTA 문제에 집중해 개헌론 정국을 정면 돌파하는 전술을 채택했다. 개헌론 정국 속에 자칫 부동산 등 민생의제나 한미FTA 문제가 빨려 들어갈 수 있으므로 당이 나서서 이 문제에 당력을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정략적’인 개헌론 정국을 끝내겠다는 계산도 깔려 있다.문성현 민주노동당 대표는 지난 12일 워크숍에서 “개헌론은 권력구조 문제만 끄집어내 내용이 부족하고, 깜짝쇼하듯 제기해 시기가 부적절하며, 폭넓은 공감대가 필요한데 그렇지 못하다”는 이른바 ‘3불(不)’론을 제기하며 개헌론을 일축했다.이어 민주노동당은 이날 워크숍에서 부동산 관련법 처리를 위한 1월 임시국회 소집 요구와 한미FTA 중단 촉구 의원단 단식농성 등 두 가지 행동 방침을 결정했다.이에 따라 권영길 의원단대표는 임시국회 소집을 위한 여야 5당 원내대표 회담을 14일 제안했다. 제안에서 권 대표는 부동산 관련 민생입법만 처리하자는 이른바 ‘원포인트 임시국회’를 열자고 밝혔다. 이와 관련, 김성희 부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대통령의 갑작스런 ‘개헌 발의’는 정략정치의 국면만 열어 놓았다”며 “정략적인 개헌 발의는 부동산 문제를 비롯한 수많은 민생 현안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되고 있고, 2월 임시국회는 시급한 민생이 아니라 정략적 개헌 논란 국회가 될 위험성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그는 “국회가 부동산 민생 입법의 단일 의제로 하는 원포인트 민생 국회로 민생 정치를 복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임시국회 소집 요구와 동시에 민주노동당 의원단은 15일부터 한미FTA 협상 중단을 요구하는 단식농성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의원단은 이날 오전 8시30분 한미FTA 6차 협상이 예정된 서울 신라호텔 로비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호텔 인근에서 곧바로 농성에 들어갈 계획이다.의원단은 이날 회견에서 “정부는 한미FTA에 반대하는 시민사회단체를 탄압하고 찬성 의견을 억지로 만들어내려 하고 있다”며 “특히 정략적인 개헌 발의 선언은 한미 FTA를 비롯한 민생 의제의 거대한 블랙홀이 되고 있으며 밀실 졸속 합의의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는 주장을 펼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