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수지 동향'에 따르면 지난 3/4분기 전국가구의 소득 5분위배율은 7.28배를 기록, 작년 3/4분기(7.30배)나 올 2/4분기(7.24배)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분위배율이 7.28배라는 것은 상위 20%의 소득이 하위 20% 소득의 7.28배라는 뜻으로 지난해 전체로는 7.35배를 기록한 바 있다.
5분위별 소득을 살펴보면 하위 20%의 소득을 나타내는 Ⅰ분위 소득은 지난 3/4분기 81만9,800원을 기록, 전년동기대비 1.7% 증가했고 상위20%인 Ⅴ분위 소득은 596만7,700원으로 1.4% 증가했다. 이와 더불어 올 3/4분기 전국가구 가운데 하위 30%의 적자가구 비율도 50.7%를 기록해 전 분기 49.5%보다 악화됐고 중위40%(22.4%→23.4%)와 상위 30%(11.1%→13.7%)도 적자가구가 늘어나 가계형편이 전체적으로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분배 외에 가계수지 역시 소득은 줄고 소비는 늘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 3/4분기 전국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294만9천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1% 증가에 그쳤고 물가상승률을 뺀 실질소득은 오히려 0.2% 감소했다. 반면 전국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04만9천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7% 증가해 전분기(2.9%)에 비해 증가폭이 확대됐다. 실질 소비로도 1.3% 증가했다.
이에 따라 처분가능소득은 256만원을 기록, 전년동기대비 1.0% 증가에 그쳤다. 흑자액은 51만2천원으로 8.4%나 감소했고 흑자율은 20.0%를 기록, 마찬가지로 2.0%포인트 감소했다.
그러나 재정경제부는 가계수지 동향분석 자료를 통해 "3/4분기 소득분배가 악화된 것은 계절적 요인에 주로 기인한다"며 "우리경제의 양극화 현상이 개선될 조짐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재경부는 현재 양극화 대책으로 일자리 창출기회의 지속적 확대와 사회안전망 강화, 교육 및 의료 등의 서비스산업 경쟁력 향상을 제시해 놓은 상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