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정문 근처, 현대차 비정규직노조 사무실 바로 앞에는 13명의 비정규직 해고자가 함께 운영하는 포장마차가 있다. 올해초 현대차 5공장 비정규직들이 벌인 238일간의 투쟁 이후 해고된 78명 중 ‘생계투쟁’을 하지 않는 13명의 해고 조합원들이 ‘입에 풀칠이라도 할 돈’을 벌고, 현장활동가들과 지속적으로 만날 장소를 마련하기 위해 개업한 포장마차다.

13명이 하루 10만원 벌어
17일 저녁 7시20분, 기자가 취재할 겸 소주 한잔 할 겸 찾은 포장마차에는 조합원 4명이 장사준비를 마치고, 손님을 기다리고 있었다. 임선우 조합원(전 비정규직노조 5공장 대표)과 자리를 잡고 앉아서 잔에 술을 채우고, 목을 축이기 시작했다. 첫 질문은 ‘벌이가 괜찮냐’는 것으로 시작했다. “많이 벌 때는 하루 매출이 50만원도 나오는데 안 되면 20만원 벌이할 때도 있어요. 이제 열흘 됐으니까 아직 평균매출은 안 나올 때죠.” 재료비로 매출의 절반을 빼면 장사가 안 되는 날은 10만원 벌이 하는 셈.
“현장활동가들이 주로 와요. 현장투나 민노회 사람들이 많이 오고, 개인적으로 오는 활동가들이 많아요.” 임 조합원의 말이 이어진다. “현장조직 의장단이 한번 왔었어요. 정규직노조 임원들도 술은 마실 텐데, 포장마차는 격이 떨어져서 안 오는 겁니까? 다음 위원장 선거에 지장이 있어서 안 오는 겁니까? 비정규직도 투표권이 있으면 이러진 않을 겁니다.”
“표만 달라면 뭐가 다릅니까?”
“같은값이면 노동자 후보에게 찍겠죠. 그런데 누가 되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떻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선거에 초칠라 말을 아끼는 분위기, 조금 더 캐묻자 ‘억하심정’을 털어놓기 시작한다.
“비정규직 대책을 산별 건설이라고 말하데요. 맞는 말이죠. 근데 비정규직에게 표 받으려면 ‘불법파견 문제 해결 위해 온 힘을 쏟겠다’고 말해야 되는 것 아닙니까. 연대는 말이 아닙니다. 노동자를 위해 싸워야 노동자 후보지." 약간 상기된 표정으로 임 조합원이 말을 이어가는 동안 기자는 묵묵히 술잔을 비울 수밖에 없었다.
저녁 9시를 넘기면서 동네주민 몇몇이 자리를 채웠지만, 활동가들은 한 명도 오질 않았다. 9시반쯤 되면서, ‘생계투쟁’을 하던 조합원이 왔다. 약간 미안한 얼굴로 찾은 조합원을 포장마차 식구들은 반갑게 맞았다. 썰렁했던 분위기가 조합원 한 명이 오니 왁자지껄 변한다.
최고의 단골손님이라는 한 현장활동가가 바로 앞 비정규직 조합 사무실에서 ‘배달서비스’를 신청했다. 투덜투덜 웃으며, 안주꺼리와 술을 나른다. ‘신자유주의 광풍에 맞서겠다’는 목청 높은 구호보다 술 한잔 팔아주고, 현장 소식 전해주는 게 이들에겐 가장 큰 연대다.
활동가들은 선거운동 갔나…
밤이 깊어지자 포장마차의 취기가 완연해진다. 5시간째다. 그러나 정규직 활동가는 단 한 명이 들렀을 뿐이다. 다들 선거운동 나갔나…. “우리 현장으로 몬간다. 노력해서 그기 될일이가. 정몽구(현대차 회장)가 병신이가.” 술이 오른 조합원이 푸념했다. “노력해야지. 들어가야 한다!” 말리는 조합원도 있었지만 표정이 밝지 않다.
부디 포장마차로 큰 돈벌기보다, 현장으로 빨리 돌아가길 바랄 따름이다. 더불어 매일 안주감이 떨어져 장사를 접어야 하길, 현장 활동가와 지역 진보정치인들의 얼굴이 포장마차에서 자주 보이길 바란다.


어떤 동지는 술 한잔 마시고 미안해서 낮에는 투쟁하고 밤에는 생계투쟁으로 고생하는 해고자들이 하는 대리운전을 못부르겠다는 동지도 있었다.
2년 가까이 민주노총 마크 달고 효성해복투 글귀새기고 원직복직을 향해 밤거리를 내달리며 만나는 동지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던 기억이 새삼 떠오른다.
지금 비정규직 동지들이 운영하는 포장마차에 현장의 정규직 활동가들이 찾지않는 것은 한편으로는 동지들 볼 낯이 없이 안오는 것일수도 있고, 또한편으로 마음은 매일 가고 싶지만 어쨌던 동지들 보기가 안스러워서 안오는 것일수도 있습니다.
이유야 어떠하던 동지들의 투쟁이 정당하고 반드시 싸워이겨 현장으로 돌아갈 각오와 결의가 있는한 동지들의 투쟁은 지금 당장은 어렵고 힘들겠지만 언젠가는 승리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