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산업생산이 5.5% 증가에 머물렀다. 설비투자도 감소세로 돌아서 경기회복에 대한 확신을 주지 못하고 있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산업생산은 지난해 같은달보다 5.5%가 늘어 6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7월의 7.0%보다는 하락해 상승세가 둔화됐다.

통계청은 산업생산이 둔화된 이유로 현대자동차 분규에 따른 자동차 생산 부진을 들었다. 자동차 부문을 제외한 산업생산 증가율은 6.0%로 7월의 5.7%에 비해 높은 편이라는 설명.

업종별로는 반도체 생산이 전년동월대비 21.8%, 영상음향통신 생산은 14.7% 증가한 반면 자동차 생산은 분규 등의 영향으로 0.1%, 휴대용컴퓨터 등 사무회계용기계 생산은 14.9%가 감소했다. 생산자제품 출하는 전년동월대비 5.8% 늘어 전달의 6.4%에 비해 0.6%포인트 줄었다. 내수용 출하는 4.5%, 수출용 출하는 7.7% 늘어 출하가 내수보다 수출에 보다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재판매는 내구재와 준내구재, 비내구재 판매가 모두 증가해 지난해 같은달에 비해 6.0% 늘면서 31개월만에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제조업체 평균가동률은 78.2%로 전달보다 2.3%포인트 감소했으며 재고율은 전월에 비해 1.4%포인트 떨어진 95.0%를 기록했다.

그러나 설비투자는 특수산업용 기계 및 정밀기기 등에 대한 투자감소로 지난해 같은달에 비해 0.9% 줄어드는 등 감소세로 반전됐다. 올해 설비투자는 매달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고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