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와 노사정이 법안 처리 시점에 온 신경을 집중하기보다는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힘을 모아 논의를 진행해 나가야 한다는 것.
이용득 위원장은 6일 간담회 이후 기자와의 대화를 통해 “시한이 쟁점이 된 것은 노사정 모두가 사실상 서로를 불신해 대화의 가능성을 낮게 봤기 때문”이라며 “노사정대표자회의와 국회 논의를 진행하고 합의문을 발표하게 된 것은 이런 불신들이 어느 정도 극복되고 대화의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이어 “국회와 노사정 중 그 누구라도 4월 처리를 못 박거나 4월 유보를 외친다면 논의는 형식적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고 법안에 대한 실질적 대화는 사라질 것”이라며 법안 처리 시점에 대한 일체의 논의가 노사정 대화에 도움이 안된다는 의견을 펼쳤다.
그는 아울러 “법안에 대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논의를 하다 보면 노동계와 경영계가 합의에 이를 수 있는 지점들은 반드시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며 “허심탄회한 논의를 진행해 왔고 앞으로도 그런 논의를 할 것이기 때문에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노총의 한 관계자 또한 “한국노총 입장에서 법안 처리 시점은 4월이든 유보든 크게 개의치 않는다”며 “중요한 것은 내용이고 내용만 합의된다면 4월에 하는 것이고 논의에 진전이 없다면 4월 처리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한 “논의 과정에서 국회가 시한을 못박아 일방적으로 법안을 처리할 경우 한국노총도 대화를 중단하고 반대투쟁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