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의장은 공무원노조 파업과 관련한 중재요청에 대해서는 “간단한 사안이 아니다. 검토해보겠다”고 답했다고 이목희 열린우리당 의원이 전했다.
이와 함께 한나라당도 이날 비정규관련법 등 18개 법안에 대해 여당이 일방처리를 시도할 경우 반드시 저지하겠다고 밝혀 사실상 이번 정기국회에서 비정규법안이 처리되기 힘들 것으로 전망되면서 노동계의 총파업 계획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26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힌 민주노총의 투쟁방침에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이수호 민주노총 위원장은 이날 오전 정부와 여당에 집중교섭을 제안하는 기자회견에서 “폐기하겠다는 합의서를 쓰지 않는 한 투쟁기조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법안처리의 연기가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파업철회는 어렵다 할지라도 ‘무기한 총파업’ 수위는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 이수봉 민주노총 교선실장은 “24일 대표자회의에서 논의를 거쳐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민주노총은 비정규개악안 저지와 함께 비정규보호입법 쟁취 목표를 내세우고 있어 대화진행에 따라 투쟁수위가 조절될 수는 있지만 전반적인 투쟁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강훈중 한국노총 홍보국장도 “대화 자리가 마련된다면 민주노총과 함께 성실히 대화에 임하겠지만 법안이 강행된다면 총파업에 돌입하겠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강 국장은 이날 만남에 대해 “대체적으로 충분한 이야기를 나눴다고 평가하는 분위기”라고 노동계 반응을 전했다.
양대노총은 이날 면담에서 비정규법안과 공무원노조 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했으며, 국민연금법 개악안과 기업도시법 철회 촉구도 주문했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면담에는 열린우리당 이부영 당의장과 이목희, 제종길 의원, 한국노총 이용득 위원장, 최대열 교선본부장, 민주노총 이수호 위원장, 김태현 정책실장 등이 참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