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더 후보는 대선 실패에도 불구하고 정경유착에 대한 반대운동을 지속적으로 펴나가겠다며 향후 일정을 밝히기도 했다.
지난 2000년 대선에서 민주당으로부터 '훼방꾼(spoiler)'이라는 비난을 들었던 네이더 후보는 선거캠페인을 중단하고 존 케리 민주당 후보와 연합전선을 펴도록 압력을 넣었던 '자유주의적 지식인'들에 대해 거침없이 불만을 토로해왔다.
네이더 후보는 선거운동 과정에서 워싱턴에 모인 150여명의 지지자들에게 "현재의 민주당은 공화당보다 더 공화당처럼 보일 때가 있다"고 혹평하기도 했다.
이번 선거에서 '네이더 변수'는 네이더 후보가 플로리다와 뉴햄프셔에서 앨 고어 후보의 표를 잠식, 부시 후보의 당선을 돕고 있다고 민주당이 주장했던 2000년보다는 훨씬 약해진 것으로 보인다.
외신에 따르면 네이더 후보는 이번 선거에서 부시가 케리를 4% 포인트로 앞섰던 플로리다주에서 0.5%를 얻었다. 4년전 플로리다에서 9만7천표에 달하는 2%를 얻었던 것에 비하면 급전직하라 할 수 있다.
민주당측은 당시 플로리다에서 부시에게 537표차로 석패했던 것을 감안하면 네이더 변수가 대선 후보를 갈랐다고 믿고 있다.
플로리다주와 마찬가지로 뉴햄프셔에서도 네이더 후보는 4년전 5%에 비해 1% 미만의 표를 얻었고 미네소타주에서도 1% 벽을 깨는 데 역시 실패했으며 다른 주에서도 4년전만큼의 성과를 올리지는 못했다.
네이더 후보는 플로리다주, 캘리포니아주 등 6개 전략 주를 포함 34개주에서 투표용지에 이름을 올리는데 성공하면서 "공화당 성향의 유권자들로부터 지지를 얻어오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네이더 때문에 케리가 졌다고 주장하기가 이젠 어렵게 된 셈이다.
(서울=연합뉴스) 정주호 기자 jooho@yna.co.kr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