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매일노동뉴스 |
▶ “이라크 다음은 한반도” = 아시아 공동행동 일본연락회의 사무국의 미네 카즈야씨는 미국이 이라크에서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면 다음에는 확실히 중국, 시베리아 등 막대한 시장과 자원이 존재하는 동아시아, 그 중에서도 한반도에 초점을 맞출 것임에 틀림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94년에 한반도에서 핵 문제가 고조됐을 때 미국은 한반도 전쟁을 준비했다. 그러나 일본이 1천가지 항목의 대미 전쟁협력 사항들을 준비하지 못한 상태였기 때문에 미일공동작전을 발동하지 못했다”고 증언했다.
이에 미국은 일본과 아시아태평양지역을 지배하는 전략적 파트너 관계를 강화해 96년 ‘미일 신안보 공동선언’을 발표했고, 일본정부는 자위대의 PKO파병 추진, 미일군사동맹 강화 등을 통해 전쟁국가로의 전환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 어디에 집중할 것이냐 = 토론회에서는 평화운동의 역량을 어디에 집중시킬 것인가에 대한 논쟁도 벌어졌다.
‘다함께’에서 활동 중인 김어진씨는 “CIA 첩자였던 ‘악마의 시’ 저자 루시디는 ‘미국이 가장 두려워해야 할 것은 출산율 1위, 실업률 40%의 불안정한 왕정사회 사우디에서 미군 축출운동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말했다”며 “마찬가지로 유추해 보면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서 패했듯이 이라크에서도 패퇴해야 이후 다른 지역 침공을 두려워하게 될 것”이라고 이라크 문제에 역량을 집중할 것을 주장했다.
반면 사회진보연대 김정은씨는 “이라크 문제 못지 않게 동아시아에서의 미군 움직임에도 주목해 미군기지 철수를 중심으로 한 반전운동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 일, 파시즘 하나의 주류로 = 미네 카즈야씨는 “아시아에서 10만명 체제는 주한미군 80개 기지 3만6천명, 주일미군 50개 기지 5만1천명(오키나와 기지 포함)의 분포에서 알 수 있듯이 대부분 오키나와, 일본, 한국을 주축으로 한 동북지역에 집중돼 있다”며 “이런 가운데 미국과 일본은 아시아태평양지역을 지배하는 전략적인 파트너관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일본의 군사대국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흐름을 반영하듯 일본 NGO에서 일하고 있는 무또 이치요씨 역시 “군국주의, 우경화가 한창 진행 중인 일본에서는 파시스트가 하나의 주류로 남아 있다”고 증언했다.
일본 헌법 제9조 개정 반대 운동을 펼치고 있는 사사모토 변호사도 “여당 야당 구분없이 자민당, 민주당 모두 침략전쟁 금지를 규정한 헌법 제9조를 수정하려 한다”며 “내년에 제출되는 이 안이 통과될 경우 일본의 선제공격이 가능해져 아시아에 큰 위협이 될 것”으로 우려했다.
이에 그는 “아시아 각국의 시민사회 단체들도 현재 일본에서 진행되고 있는 헌법 개정 반대 운동에 동참해 목소리를 높여줄 것”을 당부하고 2005년 가을 서울에서 열리는 ‘아시아 태평양 법률회의(COLAP4)’에도 관심을 가져줄 것을 부탁했다.
한편 일본 평화운동 단체에서 참석한 한 인사는 반대여론이 극심함에도 최근 고이즈미 총리가 북한을 방문한 이유에 대해 “조일국교 정상화는 재계의 강력한 요구”라며 “일본 재계는 65년 한일 조약처럼 북한에 경제협력금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일본 제품의 판로를 열려고 하고 남북 철도도로 연결과 러시아의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내키지는 않지만 수교를 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