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노련은 1일 오후 1시 과천 그레이스 호텔에서 ‘주40시간제 도입에 따른 노사의 역할과 과제’라는 주제로 화학업종 노사대표 연찬회를 열고 이미 합의에 이른 롯데제과, 태평양 등 7개 업체의 합의안을 소개하면서 주40시간제 조기도입을 당부했다.
이날 사례 소개 및 설명을 진행한 임춘택 화학노련 정책교육국장은 “현재 화학노련 소속 노조 중 노사간 주40시간제 도입을 논의하고 있는 사업장은 40여 곳이 넘지만 타결된 곳은 7곳밖에 없다”며 “오늘 사례 소개 및 설명을 통해 많은 사업장의 주40시간제 도입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 설명회에서 임 국장은 “이번 사례를 분석한 결과 화학업종 노조들은 대체적으로 통상시급 인상안을 양보하는 대신 교대근무 제도를 바꾸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며 “예상과는 다르게 노조들이 임금인상을 양보하고 근무조건을 얻어내는 협상을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임금은 총액임금 보존 수준에서 결정되고 있으며 휴가일수는 년?월차가 기존과 거의 유사한 수준에서 결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날 연찬회에 참석한 한 회사간부는 “이런 자리를 마련해 준 노조에게 감사하다”며 “중립적 입장에서 주40시간제 도입에 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는 좋은 자리였다”고 말했다.
박헌수 화학노련 위원장은 “주40시간제 도입까지 노사간 소모적인 과정을 겪기 보다는 이런 사례들이 참고가 돼서 이 제도가 빨리 도입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번 행사를 개최했다”며 “여기 모인 사람들이 이런 사례들을 참고로 각 사업장의 실정에 맞는 주40시간제 합의안을 잘 마련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김봉석 기자 seok@labor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