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최근 주5일 근무제 논의를 노사정위원회로 되돌리려는 움직임에 대해 반대입장을 표명하면서 국회 환노위가 주관하는 노사정 협상 재개를 주장했다.


민주노총은 22일 오전 영등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주5일 근무제 도입 논의 시한을 다음달 15일로 한정하거나 논의단위를 노사정위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에 반대한다"며 "그러나 정치권과 재계가 국회차원의 노사정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면 주요쟁점에 대해 가능성을 열어놓고 적극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이어 "내부 논의를 통해 민주노총 협상안과 노동계 단일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이는 국회차원의 노사정 협상 타결을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노총 이재웅 사무총장은 "이미 국회 차원의 노사정 협상이 7차까지 열렸고 이제 본격적인 협상을 시작할 수 있는 단계에 와있다"며 "굳이 민주노총이 참여하지 않고 있는 노사정위로 교섭단위를 옮기겠다는 것은 민주노총은 논의에서 빠지라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더구나 민주노총이 노사정위 논의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대의원대회를 열어 노사정위 참여문제 자체를 논의해야 하기 때문에 물리적인 시간으로도 논의 참여가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6시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23일 오후 4시간 경고파업 강행여부 등 이후 투쟁방침을 확정할 계획이다. 7월 임시국회 처리가 사실상 유보된 상황에서 경고파업은 유보될 전망이다.

김재홍 기자(jaehong@labornews.co.kr)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