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노동부장관 인선이 마무리됨에 따라 노동행정의 트리오로 꼽히는 노사정위원장, 현재 공석인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과 차기 노동부차관 인선에도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노사정위원장의 경우는 현 신홍 위원장의 임기가 남아있기는 하지만 새 정부가 노사정위에 갖는 기대가 큰 만큼 새 인물이 위원장으로 오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많다. 그러나 새 노동부장관이 업무를 익히고 청와대 T/F팀도 구성이 완료돼 노동행정의 구도가 잡힌 이후에나 인선이 가능할 것이란 예상도 있다. 이번 장관 인선과정에서 막판까지 후보로 거론됐던 몇몇 인물들이 다시금 거론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중량감 있는 정치권 인사가 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다.
이와 함께 지난 24일 임종률 위원장의 사직으로 인해 공석인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장관급) 후임 인사는 조속히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새 정부는 노사정위 비정규특위 윤성천 위원장(광운대 법학과 교수) 등 법학자 출신과 김상남 전 청와대 복지노동수석 등 관료 출신 중에서 물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동안 중노위 위원장직에 모두 학자 출신이 기용돼 왔으나 새 정부가 노동행정서비스 역량확충 차원에서 노동위원회 또한 조직·인력을 늘려 공적조정기능을 강화하겠다는 방향을 정한만큼 관료 출신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동부차관에는 노동부 내부 인선 원칙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김원배 기획관리실장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고 전 노동부 기획관리실장 출신인 문형남 기술대학교 총장도 이름이 오르고 있는 가운데 차관급은 다음주 초께 발표될 것이란 전망이다.
이밖에도 당초 노무현 대통령은 핵심국정과제 T/F팀을 4개만 구성하려 했으나 새로 노동부문을 포함시키는 등 모두 7개로 늘릴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노동부문 T/F 팀장에는 민간 출신 전문가가 선임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관심을 모으고 있다.
연윤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