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서비스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매체정보 바로가기 로그인 바로가기 기사검색 바로가기 전체서비스 바로가기

상단영역

매일노동뉴스

  • 후원
  • 구독
  • 로그인
  • 회원가입
2025-11-26 10:42 (수)
편집.
  • 로그인
  • 회원가입
  • 모바일웹
rss Mobile
  • 오피니언
    • 시론
    • 취재수첩
    • 사진이야기
    • 연재칼럼
    • 주장
    • 정정·반론보도
  • 일자리
    • 취업ㆍ고용
    • 이직ㆍ퇴사
    • 비정규노동
    • 일터 복지
  • 노동
    • 노동정책
    • 사건ㆍ사고
    • 노동조합
    • 노사관계
    • 사회적 대화
  • 안전과 건강
    • 중대재해
    • 노동안전
    • 직업병
  • 매일노동법률
    • 판결 기사
    • 판결 평석
    • 판결 전문
    • 통상임금.ZIP
    • 노동법 퀴즈
  • 경제
    • 경제일반
    • 산업
    • 경영계
    • ESG
  • 정치
    • 정치일반
    • 정부
    • 국회ㆍ정당
  • 사람
    • 인터뷰
    • 인물
    • 독자와 함께
    • 인사ㆍ부고
  • 오피니언
    • 시론
    • 취재수첩
    • 사진이야기
    • 연재칼럼
    • 주장
    • 정정·반론보도
  • 일자리
    • 취업ㆍ고용
    • 이직ㆍ퇴사
    • 비정규노동
  • 노동
    • 노동정책
    • 사건ㆍ사고
    • 노동조합
    • 노사관계
    • 사회적 대화
  • 안전과 건강
    • 중대재해
    • 노동안전
    • 안전포커스
  • 매일노동법률
    • 판결 기사
    • 판결 평석
    • 판결 전문
    • 노동법 퀴즈
    • 통상임금.ZIP
  • 경제
    • 경제일반
    • 산업
    • 경영계
    • ESG
  • 정치
    • 정치일반
    • 정부
    • 국회ㆍ정당
  • 사회
    • 시민사회운동
    • 인권ㆍ복지
    • 보건
    • 환경
    • 젠더
    • 교육
  • 문화
    • 책세상
    • 콘텐츠
    • 툰
  • 사람
    • 인터뷰
    • 인물
    • 독자와 함께
    • 인사ㆍ부고
  • 세계
    • 국제노동
    • ENGLISH
  • 기획
    • 기획특집
    • 현장특집
  • 가치, 모아
    • 구로노동자조사그룹
    • 노동포럼 나무
    • 희망씨
    • 권역별 서울특별시 노동자 종합지원센터
    • 백화점면세점판매서비스노조
    • 은빛기획
  • 출판

본문영역

매일노동뉴스 2025-11-26
14개월만에 출소한 한통계약직노조 홍준표 위원장
스크롤 이동 상태바

인터뷰

14개월만에 출소한 한통계약직노조 홍준표 위원장

" 싸워온 과정만으로도 승리한 것 "

  • 기자명 이정희 워팅보이스 취
  • 입력 2002.05.30 09:03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합의문 수용여부를 묻는 총회에 참석하지는 못했지만,
조합원들이 어떤 식으로 결정하든 따르겠다고 했다.

▶ 한통계약직노조 517일 파업이 남긴 것 보기

싸워온 과정만으로 승리한 것

투쟁이 500일을 넘어가면서 조합원들이 지쳐있고,
가정이 파탄지경에 이른 사람도 있다는
얘기를 듣고 이제는 한계가 아닌가 생각했다.
(합의안이) 조합원들에게 많이 불만족스럽겠지만,
다시 시작하는 의미로,
상처를 치유하는 의미로 받아들였으면 한다. "


14개월의 수감생활을 마치고 5월18일 석가탄신일 특사로 출소한 한국통신계약직 홍준표 위원장(41).
다소 담담한 표정으로 '517일 파업 마무리' 결정에 대한 소감을 말한다.

"말이 노숙투쟁이지, 영하 20도 가까이 기온이 떨어지는 겨울에 시멘트 바닥에서 생활하기 너무 어려웠다. 눈은 또 왜 그렇게 많이 내리는지… 정규직은 우리와 정서가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연대투쟁에 나서지 않았고, 정규직 노조와 우리 노조가 함께 소속돼 있는 공공연맹과 민주노총 지원 하에 연대를 모색해 보려고 했는데 그것도 쉽지 않았다. 회사와의 교섭에서는 어느 누구도 책임 있는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그래서 노조가 선택한 것은 극한투쟁. 회사에 상당한 부담을 줄 수 있는 투쟁전술을 사용하지 않으면 파업의 끝이 보이지 않겠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3.29 목동 전화국 점거. 하지만 노조는 그 전술을 쓰고서도 파업의 끝을 보지 못했다.

"감옥 있을 때 얘기이지만, 지난해 여름과 가을쯤.
조직적 퇴각론이나 종업원지주제 얘기가 나왔다. 내부적으로 어떤 논란이 있었는지 잘 모르지만 결과적으로 투쟁 깃발을 내리게 된 데 후회하진 않는다. 더욱 중요한 것은 투쟁과정 속에서의 상처를 어떻게 치유하느냐이다."

당시 논란의 핵심은 현재 남아있는 계약직 노동자들이 한국통신으로부터 안정적인 도급물량을 받는 도급회사를 설립하면서 고용을 보장받되, 현재 '계약직노조'를 (가칭)'한국통신비정규직노조'로 전환, 한국통신과 직간접적으로 엮여있는 회사의 비정규노동자들을 조직하는 구심체가 되도록 하자는 것이었다.

그러나 적지 않은 조합원들이 '정규직화' 요구를 포기할 수 없다고 반발했고, 한국통신 역시 종업원지주회사 설립에 대한 구체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아 결과적으로 폐기됐다.

다만, 홍 위원장이 아쉬움을 갖고 있는 순간은 지난해 1월 중순, 한국통신 이상철 사장과 독대를 했을 때. 당시 이 사장은 △ 남아있는 계약직을 전원 도급으로 고용을 보장해 주고 △ 인력감축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고 나서 신규채용을 할 때 현재 계약직들을 우선 채용하겠다는 약속을 했다.

"어쩌면 지금의 투쟁 결과가 당시 오가던 내용보다 못한 결과로 보여진다. 그 때 좀더 심사숙고했어야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또한 3.29 목동전화국 점거 들어가기 전에 힘들어하는 조합원들을 보면서 투쟁 방향을 끝장내기 식으로 끌고 간 데 대해 후회랄까, 아쉬움은 있다."

그런 홍 위원장이 보는 파업 517일은 어떤 의미일까?

"우리가 비정규직 투쟁의 선봉이라든가, 모든 비정규직의 아픔을 대변했다고 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스스로의 아픔을 표출하는 투쟁을 했다는 데 자신감을 갖고 있다.
우리는 싸워온 과정만으로도 승리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드러났던 정부와 한국통신의 구조조정의 문제점, 비정규직들에 대한 차별 등은
이제 다시 시작할 투쟁 속에서 해결해 낼 것이다."
이정희 워팅보이스 취 labortoday@labortoday.co.kr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0 / 400
 
비회원 로그인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
오늘의 주요뉴스
정년연장 연내 ‘입법안이라도’ 정부·여당 뒤늦은 속도전
일당 24만원이 17만5천원으로 ‘일용직 임금 깎는 통상근로계수’ 왜?
배민 ‘로드러너’ 7개월, 라이더·점주 모두 “더 위험해졌다”
“사회적 파트너” 경사노위 구애에도, 민주노총 1년 내 복귀 사실상 ‘불가’
서울교통공사노조 다음달 12일 파업 예고
많이 본 기사
1 직무급제와 정년연장이 무슨 상관입니까
2 쿠팡 택배노동자 ‘배송단가 인상’ 요구
3 배달노동자 ‘배민 로드러너’ 도입 “결사반대”
4 [안수용 홈플러스지부장] “홈플러스 사태, 민간기업 문제 아냐”
5 정년 뒤 부당해고 구제신청, 법원 “구제이익 있다”
 Back to top
오피니언
  • 시론
  • 취재수첩
  • 사진이야기
  • 연재칼럼
  • 주장
  • 정정·반론보도
일자리
  • 취업ㆍ고용
  • 이직ㆍ퇴사
  • 비정규노동
  • 일터 복지
노동
  • 노동정책
  • 사건ㆍ사고
  • 노동조합
  • 노사관계
  • 사회적 대화
안전과 건강
  • 중대재해
  • 노동안전
  • 안전포커스
  • 직업병
매일노동법률
  • 판결 기사
  • 판결 평석
  • 판결 전문
  • 노동법 퀴즈
  • 통상임금.ZIP
  • 노동법조인
경제
  • 경제일반
  • 산업
  • 경영계
  • ESG
정치
  • 정치일반
  • 정부
  • 국회ㆍ정당
사회
  • 시민사회운동
  • 인권ㆍ복지
  • 보건
  • 환경
  • 젠더
  • 교육
문화
  • 책세상
  • 콘텐츠
  • 툰
사람
  • 인터뷰
  • 인물
  • 독자와 함께
  • 인사ㆍ부고
세계
  • 국제노동
  • ENGLISH
기획
  • 기획특집
  • 현장특집
가치, 모아
  • 구로노동자조사그룹
  • 노동포럼 나무
  • 희망씨
  • 권역별 서울특별시 노동자 종합지원센터
  • 백화점면세점판매서비스노조
  • 은빛기획
출판
회사소개 구독신청 후원하기 광고문의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 기사제보 공지사항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자율심의 준수서약사
매일노동뉴스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로16길 15 , 3층(서교동, 동호빌딩)
  • 대표전화 : 02-364-6900
  • 팩스 : 02-364-6901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학태
  • 법인명 : (주)매일노동뉴스
  • 제호 : 매일노동뉴스(The Labor Today)
  • 등록번호 : 서울 아 00094
  • 등록일 : 2005-10-26
  • 발행일 : 2017-06-01
  • 발행인 : 강규혁
  • 편집인 : 한계희
  • Copyright © 2025 매일노동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labortoday.co.kr
ND소프트

전체메뉴

  • 전체기사
  • 오피니언
    • 전체
    • 시론
    • 취재수첩
    • 사진이야기
    • 연재칼럼
    • 주장
    • 정정·반론보도
  • 일자리
    • 전체
    • 취업ㆍ고용
    • 이직ㆍ퇴사
    • 비정규노동
    • 일터 복지
  • 노동
    • 전체
    • 노동정책
    • 사건ㆍ사고
    • 노동조합
    • 노사관계
    • 사회적 대화
  • 안전과 건강
    • 전체
    • 중대재해
    • 노동안전
    • 안전포커스
    • 직업병
  • 매일노동법률
    • 전체
    • 판결 기사
    • 판결 평석
    • 판결 전문
    • 노동법 퀴즈
    • 통상임금.ZIP
    • 노동법조인
  • 경제
    • 전체
    • 경제일반
    • 산업
    • 경영계
    • ESG
  • 정치
    • 전체
    • 정치일반
    • 정부
    • 국회ㆍ정당
  • 사회
    • 전체
    • 시민사회운동
    • 인권ㆍ복지
    • 보건
    • 환경
    • 젠더
    • 교육
  • 문화
    • 전체
    • 책세상
    • 콘텐츠
    • 툰
  • 사람
    • 전체
    • 인터뷰
    • 인물
    • 독자와 함께
    • 인사ㆍ부고
  • 세계
    • 전체
    • 국제노동
    • ENGLISH
  • 기획
    • 전체
    • 기획특집
    • 현장특집
  • 가치, 모아
    • 전체
    • 구로노동자조사그룹
    • 노동포럼 나무
    • 희망씨
    • 권역별 서울특별시 노동자 종합지원센터
    • 백화점면세점판매서비스노조
    • 은빛기획
  •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