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태일 열사 55주기를 맞아 양대 노총이 한목소리로 불안정 노동자 권리 보장을 선언하며 전태일 정신 계승을 강조했다. 한국노총은 하청노동자 권리 회복을, 민주노총은 초기업교섭 확대와 작업중지권 쟁취를 약속했다. 전태일노동상은 문길주 전남노동권익센터장이 수상했다.
민주노총 “초기업교섭·작업중지권 쟁취”
한국노총 “하청노동자 권리 회복”
전태일재단(이사장 박승흡)과 전태일시민행동은 13일 오전 경기도 남양주시 마석모란공원에서 55주기 전태일 추도식과 33회 전태일노동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추도식 푯말은 ‘오늘의 전태일들과 함께! 11월13일을 국가기념일로’다. 앞서 전태일시민행동은 발대식을 열고 11월13일 국가기념일 지정 운동을 본격화했다.
박승흡 이사장은 “전태일이 근로환경 개선을 외친 지 반세기가 지났지만 우리 사회는 불평등과 양극화의 벼랑 끝에 서 있다”며 “전태일의 이름과 정신이 제도와 일상 속에 살아 움직여야 한다. 11월13일 국가기념일 지정은 그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대 노총은 미국 관세협상에 따른 일자리 위협을 지적하며 ‘오늘의 전태일’로 불리는 비정형 노동자 권리 강화가 전태일 정신을 잇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나라의 자주권도, 노동자의 일자리도 노동자 스스로 지켜야 하는 시기”라며 “초기업교섭으로 특수고용·플랫폼노동자 등 울타리 밖 노동자와 함께하고, 누구도 다치거나 죽지 않는 현장을 위해 작업중지권을 쟁취하겠다”고 밝혔다.
정연실 한국노총 상임부위원장은 “관세를 앞세운 미국의 제조업 부흥책으로 재벌·대기업의 이윤만 채워지고 일자리는 위협받고 있다”며 “수많은 하청노동자의 정당한 권리를 되찾고 비정형 노동자의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실천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11월13일 국가기념일 지정 운동에도 함께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주노동자 인권침해 공론화한 문길주 센터장”
전태일노동상은 문 센터장이 수상했다. 지난 7월 스리랑카 이주노동자 인권침해 사태를 공론화하고 피해노동자가 새 일자리를 찾도록 지원하는 등 노동자 실생활에 밀착해 권익을 실현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또 전국 최초로 노동자 작업복 세탁기를 제안해 산업단지 설치를 실현하고, 조식식당 도입과 이주노동자 이름 불러주기 캠페인 같은 당사자 중심 노동권 보호를 이어온 점도 높이 평가받았다. 문 센터장은 “상패가 무겁다”며 “더 낮은 곳에서 취약계층·이주·비정규 노동자와 함께하라는 격려로 받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특별상은 양대 노총 타워크레인노조(건설노조 타워크레인분과위원회·한국타워크레인조종사노조)에 돌아갔다. 전태일노동상 선정위원회는 “‘양대 노총은 반드시 하나가 돼야 한다’는 이소선 어머니의 말씀을 따라, 두 노조는 건설현장 불법하도급과 불공정계약 구조 해결을 위해 공동투쟁의 역사를 써왔다”고 설명했다. 공로상에는 월간 작은책과 고 유희 밥묵차 대표가 선정됐다. 선정위는 “작은책은 지난 30년간 모든 일하는 사람의 일상과 노동을 따뜻하게 기록해왔고, 유희 대표의 밥차연대는 전국의 크고 작은 투쟁 현장을 빠짐없이 찾아가 노동자와 함께 했다”고 수상 배경을 소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