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찬호 광주노동권익센터장

지난 5월17일 대형 화재가 발생한 금호타이어에서 정규직 1천504명과 식당·통근버스 등 외주업체 51명(7월 기준)이 휴업에 들어갔다. 5~6개 협력업체가 고용유지지원금을 신청했다. 금호타이어 사측에 따르면 협력업체는 총 205곳에 5천400여 명이 고용돼 있다. 이 중 화재가 발생한 광주공장에는 160곳이 있다. 협력업체들이 매출 저하 등 내부적으로는 각기 다른 상황이겠지만, 우려와는 달리 피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자동차 부품사처럼 부품 일부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지원 업무를 담당하며, 금호타이어 외 타 회사들과도 거래 관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사회는 화재 직후 각종 대책기구를 구성해 대응에 나섰다. 눈에 띄는 것은 광주시 주도로 구성된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발생에 따른 고용분과위원회’였다. 고용분과에는 금호타이어 사측과 정규직·사무직·비정규직·화물운송 등 각 노동조합이 참여했고, 광주시 관련 부서와 기구들, 광주지방고용노동청, 광주상공회의소 등 관계 기관이 함께했다.

고용분과는 6월11일 첫 회의를 시작으로 9월30일까지 약 4개월 동안 6차례 회의를 열고 현재는 해소됐다. 회의에서는 일자리 피해 상황과 각종 애로사항이 논의됐으며, 정부·지자체의 휴업·실직 시 권리구제 및 지원제도 안내가 이뤄졌다. 고용분과는 정규직뿐만 아니라 하소연할 곳조차 없었던 외주업체 노동자들에게 소통 창구역할을 했다.

그러나 타이어 운송을 담당하는 특수고용 화물노동자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대부분의 지원정책에서 제외됐다. 또한 5천400여명에 달하는 협력업체 노사가 고용분과에 참여하지 않아 피해 상황을 보다 폭넓게 점검하고 지원제도를 안내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지역 노동자 현안에 대해 발 빠르게 소통하고 대응한 점은 향후 유사 상황 발생 시 지역 유관기관들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금호타이어 노사는 지난달 27일 2025년도 임금협상을 최종 타결했다. 타결 내용은 기본급 3% 인상, 격려금 600만원 지급, 타이어 쿠폰 지급 확대 등이다. 가동이 중단된 광주공장 재출근 여부는 추후 논의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번 임금협상에서 피해를 입은 외주협력업체 노동자들과 인근 주민 대책에 대해 노사가 머리를 맞댔다는 소식은 들리지 않았다. 물론 다른 논의 테이블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대기업과 달리 외주협력업체들은 휴업이 길어지고 휴업수당이 끝나면 폐업하거나 정리해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대형 화재에 대한 대응만이라도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조가 공동으로 나설 수는 없었을까. 불타지 않은 2공장 일부를 재가동해도 고용자 수는 많지 않으며, 함평 빛그린산단으로의 공장 이전이 결정됐지만 최소 2~3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휴업 여파는 공장 인근 골목 상권에도 번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피해 보고는 아직 없다. 금호타이어 대형 화재로 인한 노동자와 지역경제의 피해, 어쩌면 이제부터가 시작일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