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사회적 대화체가 다음달 공식 출범한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대화를 제안한 게 지난해 7월이니 1년2개월을 논의했다. 정치의 시간이었던 지난해 12월3일부터 올해 6월4일까지 넉 달 정도 빼도 8개월이나 머리를 맞댔으니 장고했다. 그래도 출범은 할 수 있게 됐으니 일단 악수는 아니게 된 셈일까.
확언은 어렵다. 가봐야 할 일이다. 국회 사회적 대화를 통해 성과가 도출될지 아직은 미심쩍다. 의제만 봐도 그렇다. 재계와 노동계가 벼린 칼을 뭉툭한 자루에 넣어놓은 격이다. 첨단신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력양성 방안 모색은 결국 채용과 고용관계를 다루겠다는 이야기다. 재계의 오랜 요구인 고용 유연화가 언급되지 않을 수 없다. 노동계로 치면 의무방어전을 치러야 하는 링이다.
반대로 특수고용·플랫폼노동·프리랜서 사회보험 및 사회안전망 의제는 4대 보험을 비롯해 근로계약을 중심으로 구축된 사회보험을 특수고용직에도 적용하는 방안이다. 노동계가 공세를 취하게 되는 셈이다. 비정형 노동의 대폭 확대로 의미가 축소된 사회안전망을 다시 정상화하는 논의다.
이제는 그래서 노조하기 나름이다. 지금까지는 어떤 의미에서는 선명한 요구와 투쟁이 노조의 목표였다. 여론의 힘과 지지로 정책을 좌우했다. 사회적 대화가 시작한 뒤에는 그 방법만을 고수하기는 어렵게 됐다. 양대 노총은 경제사회노동위원회보다도 이목이 집중되는 국회라는 공간에서 눈앞의 재계만 아니라, 등 뒤의 조합원들도 설득의 대상으로 삼게 됐다. 국회 사회적 대화를 통해 일정하게 협의 혹은 합의한 내용을 조합원에게도 설명해줘야 하는 까닭이다. 이 과정에서 합의가 뒤집어질 수도 있다. 재계도 마찬가지지만 적어도 투표로 선출되진 않으니 부담은 좀 덜한 편이다.
그러니 처음부터 잘 싸워야 한다. 양대 노총이 잘 싸우는 조직인 것은 이미 모든 사회가 안다. 그들은 지난해 12월3일 국회 앞을 시작으로 광화문과 여의도·한남동·남태령 등에서 정말 잘 싸웠다. 덕분에 다시 상식을 찾을 수 있는 나라가 됐다. 다만 이제는 조끼 입고 머리띠 두르는 것만 아니라 말로 잘 싸워야 한다. 양대 노총이 축적해온 정책적 역량이 폭발하는 시·공간이 되길 바란다.
양대 노총의 공조도 중요하다. 공조라고는 최저임금위원회 말고는 별로 하지 않는 두 단체지만, 심지어 최저임금위에서도 종종 의견이 안 맞곤 하지만 앞으로는 조금 더 신뢰를 쌓길 아울러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