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점포 폐점이 가시화한 가운데 홈플러스 노동자들이 대통령 면담을 요구하고 나섰다.
마트노조는 3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 사태 해결 촉구를 위한 108배를 했다. 이들은 홈플러스 대주주 MBK파트너스의 기업회생 절차를 ‘사기’라고 규정하고 정부가 직접 인수합병(M&A)를 주도해야 한다며 면담을 촉구했다.
홈플러스는 지난 1일 안산 선부점을 폐점했다. 2015년 MBK 인수 이후 18번째 매장이 문을 닫은 것이다. 홈플러스는 최근 15개점을 추가 폐점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11월에는 수원 원천·대구 동촌·부산 장림·울산 북구·인천 계산점 5개 점포가 문을 닫는다.
홈플러스는 “임대료 조정 없는 손익개선은 불가능하고 지금 같은 손익 구조하에서는 법원의 회생계획 인가 전 M&A 역시 불가능 상황”이라고 폐점 이유를 밝혔다. 하지만 여전히 인수 희망자가 나타나지 않으면서 노동자들이 우려해 온 피해가 현실화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신속한 매각을 위해 ‘스토킹호스’ 방식으로 조건부 인수계약을 추진했지만, 예비 투자자조차 확보하지 못한 상황이다. 노조는 회사가 사실상 청산 절차에 들어갔다고 판단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9월 말까지 인가 전 M&A 인수 예정자를 결정하고, 10월 중순까지 회생계획안을 제출해야 한다. 하지만 스토킹호스 방식이 사실상 실패한 상황에서 공개 입찰을 통한 매각도 어려울 것이란 업계 전망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M&A 과정에서 부동산 매매 차익만을 노린 또 다른 사모펀드가 개입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결국 홈플러스가 정상적인 M&A에 실패하면 청산과 함께 2만여명의 홈플러스 노동자와 입점업체의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노조는 이날 △정부 주도의 M&A 추진 △MBK의 기업회생 시도에 대한 금융감독원의 철저한 조사와 제재 △점포 폐점 및 구조조정 중단 △대통령과의 면담을 통한 직접적 해결 의지 표명 등을 요구했다.
노조는 “정부가 규제 부재로 차입매수(LBO) 방식 인수를 방치한 결과 기업은 약탈당하고 국민의 삶은 파괴됐다”며 “정부가 실질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