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사태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국회 청문회가 지연되자 노동자들이 국민의힘을 압박하고 나섰다. 그런 가운데 홈플러스가 ‘긴급 생존경영 체제’를 선포하고 매장 폐점을 공식화하면서 노동자 피해는 현실화하고 있다.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는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 청문회 개최에 협조하라고 요구했다.
여야는 지난 3월18일 정무위원회 회의에서 홈플러스 대주주 MBK파트너스 청문회 개최에 합의했지만 이후 조율이 지연되는 상황이다. 국민의힘 소속 윤한홍 정무위원장이 청문회 개최 동의를 유보하면서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홈플러스 사태 해결 및 국회청문회 개최 결의안’을 공동발의하면서 정치적 압박에 나섰지만, 사실상 강제성이 없는 탓에 윤 위원장의 동의 여부가 중요한 상황이다.
공대위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MBK에 대한 검찰 조사 결과를 먼저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민주당은 “약속을 이행하지 않고 시간만 끌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청문회에서는 홈플러스 사태의 법적 책임과 향후 제도적 대안 등이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홈플러스는 13일 긴급 생존 경영체제 돌입을 공식화하고 고강도 구조조정을 예고했다. 주요 내용으로 △임대료 조정 협상에 진전이 없는 15개 점포 순차적 폐점 △본사 임직원 대상 무급 휴직제도 시행 △회생절차 이후 시행 중인 임원 급여 일부 반납 조치 등이 담겼다.
홈플러스 대형점포 125개 중 8곳은 폐점 결정됐고, 이후 15개 점포가 추가 폐점되면 102개로 축소된다. 노동자 피해가 본격화되고 있는 셈이다. 홈플러스는 외부 차입이 어려운 상황에서 자금압박이 강해진 탓에 유동성 확보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공대위는 사실상 통매각을 포기하고 분할매각과 청산의 사전 단계에 들어갔다고 보고 있다.
공대위는 “국민의힘의 소극적인 태도와 의도적 지연으로 노동자와 입점 업주는 고통에 내몰리고 국민경제는 투기자본 MBK의 먹잇감으로 전락하고 있다”며 “청문회 개최를 더 미룬다면 국민의 분노로 심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