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의 노조탄압 논란이 끊이질 않자 노동자들은 담철곤 오리온 회장이 직접 나설 것을 촉구했다.
화섬식품노조 부산경남지부 오리온지회는 12일 오후 서울 성북동 담 회장 자택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리온이 지회 가입을 방해하고 특정 노조 가입을 독려하는 부당노동행위를 지속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는 경영진의 판단과 무관하지 않다며 담 회장이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쪽의 노사갈등은 2015년 4월 지회가 설립된 날부터 시작됐다. 지회는 같은해 10월 조합원 137명은 교섭창구 단일화에 참여했다. 지회에 따르면 당시 오리온은 20년간 60여명의 한국노총 오리온영업노조 조합원이 교섭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단일화 과정에서 노조 조합원이 373명으로 급증했다. 관리자의 강제가입과 조합비 대납을 통해 조합원을 늘렸다는 것이다. 노조 조합원은 2017년 지회의 대표교섭노조 지위 획득 실패 뒤 급속도로 줄기 시작했고, 2019년 115명 2021년 110명까지 축소됐다.
지회 쪽 조합원은 2017년 기준 19명까지 줄었다. 지회에 따르면 주요 간부에 대한 직무강등 등 관리자의 탈퇴공작 결과다. 결국 지회는 같은해 3월 부당노동행위로 고소했고, 울산지방노동위원회은 지회쪽 손을 들어줬다. 2018년 7월에는 울산검찰청도 법인과 행위자에 각 5백만원 벌금을 부과했다.
지회는 2019년과 2021년에도 대표교섭노조 지위를 획득하지 못했다. 하지만 지회에 따르면 지회 조합원수가 급격히 늘어나기 시작했다. 그러자 오리온의 이사급 관리자가 개입해 노조 가입을 유도하기 시작했다는 설명이다. 결국 2023년 10월 지회(조합원 144명)는 대표고섭노조 지위 획득에 다시 실패했다. 당시 노조 조합원은 181명이었다. 지회는 서울지방노동위원회와 중앙노동위원회에 교섭대표노조확정 이의신청을 제기했지만, 패소했다.
지회는 2024년 1월 관리자 개입 사건을 노동부 서울서부지청에 부당노동행위로 고소했다. 지청은 지난 6월 혐의를 인정하고 오리온 법인과 행위자를 검찰에 송치했다.
지회는 “노조 파괴 행위는 개개인의 판단과 행동으로 이뤄질 수 있는 범죄 유형이 아니다”며 “담 회장이 직접 오리온의 조직적인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