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한님기자

지난 4월 울산을 찾은 윤혜민씨는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소속 보안운영팀 직원들에게 목이 눌려야 했다. 현대차 하청업체인 이수기업에서 일하다 폐업으로 일자리를 잃게 된 노동자들의 고용승계 투쟁에 연대하던 중이었다.

화단에 쓰러져 있는 윤씨의 눈에 보인 건 노동자들과 시민들이 발로 밀리고, 들어서 던져지는 모습이었다. 윤씨는 “도대체 언제부터 현대차에게 이런 폭력이 허용됐냐”며 “부당해고에 맞서 싸우는 노동자들과 연대하고자 모인 평범한 시민에게 돌아온 것은 주먹과 폭력이었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노동부가 현대차 특별근로감독해야”

노동·시민사회단체가 현대차 하청업체 해고노동자들의 집회에 동원된 폭력을 추적하며 국회와 정부에 도움을 청했다. 고용노동부가 현대차 공장의 구사대 운용에 대한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하라는 주장이다.

현대차 구사대 이수기업 폭력사건 진상조사단은 23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토론회를 열고 “구사대를 동원한 폭력적 노무관리는 노동자의 기본권과 인간의 존엄을 짓밟는 반사회적이고 반헌법인 행위”라며 이같이 요청했다. 진상조사단에는 비정규직이제그만공동투쟁,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와 금속노조, 민변 노동위원회 등이 함께하고 있다.

진상조사단은 지난 3월과 4월 두 차례의 집회에서 현대차 소속 보안운영팀 직원들이 피케팅 중인 해고노동자들을 밀치거나 대오에 밀고 들어오는 등 물리적 폭력을 사용한 것과 관련한 진상조사를 지난 5월부터 진행했다. 진상조사단이 이날 발행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4월 ‘이수기업 해고 200일 투쟁문화제’에서 보안운영팀 직원들에게 부상을 입어 병원 치료를 받은 사람은 13명, 현장에서 응급처치를 받은 사람은 20명에 달했다. 늑골이 골절되거나 뇌진탕을 입는 등 가볍지 않은 부상을 입은 사람들도 있었다.

진상조사단은 “이런 폭력은 현대차 불법파견 투쟁의 막바지에 있는 비정규 노동자들을 힘으로 누르고 고립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며 “부당노동행위에 대해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막지 못한 노동부의 책임도 있다”고 지적했다.

국회의원들 “선 넘었다, 노동 3권 실질 보장”

이수기업 해고노동자 안미숙씨는 이날 토론회 현장증언에서 상황을 지켜만 봤던 경찰의 행동을 납득할 수 없다고 했다. 안씨는 “여성의 머리채가 잡혀도, 시민의 팔이 꺾여도, ‘살려달라, 도와달라’는 외침이 있어도 경찰은 아무 행동도 하지 않았다”며 “경찰이 현대차 편에 서 있는 부당한 현실이 결코 정상이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는 김주영·김태선·박정·박정현·박해철·이용우·이학영·이해식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윤종오·정혜경 진보당 의원,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함께 준비했다. 국회 부의장을 맡고 있는 이학영 의원은 축사를 통해 “구사대까지 동원하고 폭력을 행사한 것은 명백히 선을 넘은 행위이고, 의도된 조직적 폭력이자 노골적인 보복”이라며 “노동자와 시민의 빛의 혁명으로 탄생한 이재명 정부에서는 이런 시대착오적 탄압이 다시 반복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윤종오 의원도 “노동 3권이 실질적으로 보장되는 사회를 만들어야 하고, 구사대 폭력의 근절과 책임자 처벌을 위해 끝까지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