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내지도부가 국회에서 첫 상견례 자리를 가졌다. 여야는 원내대표의 만남을 일주일에 한번 정도 정례화하자는 데 합의하며 대화에 물꼬를 텄다. 다만 쟁점 법안과 추가경정예산(추경),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자리를 둔 샅바 싸움은 지속했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17일 오후 국민의힘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송언석 원내대표를 잇따라 만났다. 김 원내대표는 국민의힘 지도부에게 공통적으로 협치를 강조했다. 김 원내대표는 김 비대위원장에게 “추경과 상법 개정, 사법체계 등에서 진지하게 토론해 합의점을 찾으라고 정치가 있는 것이라 생각한다”고 했다. 송 원내대표에게는 “싸움보다는 해법, 말보다는 실천이 국회가 존재하는 이유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지도부도 “대화의 문을 언제나 열어두고 있다”며 화답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문제를 만들던 정치에서 문제를 풀어가는 정치로 바뀌어야 한다”고 했다. 송 원내대표도 “협치가 무너진 데에는 여당이었던 우리 국민의힘에도 잘못이 없다고 할 수 없지만, 우리가 국회에서 소수당이었기 때문에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덕담 뒤에는 신경전이 이어졌다. 김 비대위원장은 “민생과 국회 기능 회복을 위한 논의가 본격화되기를 기대하겠다”고 말한 후 곧바로 추경과 상법 개정안, 공직선거법·형사소송법·법원조직법 개정안에 대한 국민의힘 주장을 번호를 달아 나열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국가 재정이 권력의 지갑이 돼서는 안 되고, 정치적 목적을 위한 추경이라면 분명하게 견제하겠다”며 “특히 대통령 기소를 막는 조항, 대법관을 늘리는 사안에 대해 국민은 이미 이것을 방탄입법으로 보고 계신다”고 주장했다. “법치의 근간을 무너뜨리려 한다면 좌시하지 않겠다”고도 했다.
송 원내대표의 인사말도 비슷하게 흘러갔다. 송 원내대표는 민생 회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언급한 후 “원내 2당이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을 가짐으로써 입법권 내에서 상호 간의 견제와 균형을 통해서 국민들에게 민생에 큰 영향을 끼치는 법안들이 그래도 정상적으로 많은 국민의 의견을 수렴하는 형태로 통과되도록 해 온 것이 우리 국회의 오랜 관행이었다”며 민주당에 국회 법사위원장 자리를 내놓으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