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옵티칼하이테크 집단해고 해결을 위한 국회 청문회 청원이 상임위원회에서 논의될 전망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가 소관 상임위원회로 배정될 가능성이 점쳐지는데, 여야 합의부터 사쪽 출석까지 산 넘어 산이다.
16일 <매일노동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한국옵티칼하이테크 고용승계 청문회 개최에 관한 청원은 이날 국민 5만명의 동의를 얻었다. 금속노조 한국옵티칼하이테크지회의 고용승계 투쟁은 2022년 한국옵티칼하이테크 구미공장 화재 사고로 거슬러 올라간다. 화재 이후 한국옵티칼하이테크의 전체 지분을 소유한 일본 니토덴코는 구미공장 청산을 결정했고, 희망퇴직을 거부한 노동자 17명을 해고했다.
지회는 구미공장의 사업이 이른바 ‘쌍둥이 자회사’인 한국니토옵티칼(평택공장)에서 계속되는 만큼, 구미공장 노동자들을 고용승계해 평택공장에서 일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박정혜 지회 수석부지회장은 청원에서 “한국니토옵티칼에서 한국옵티칼하이테크 물량을 계속 생산하면서도 법인이 다르다는 이유로 노동자의 대화 요청을 외면한다”며 “저와 동료가 계속 일할 수 있게 하고, 외국 투기 자본의 먹튀를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달라”고 요청했다.
박 수석부지회장이 구미 한국옵티칼하이테크 공장 옥상 텐트 안에서 500일이 넘게 고공농성을 이어 가는 가운데, 노조와 지회는 구미공장을 청산한 주체인 일본 니토덴코가 청문회에 나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한주 노조 언론국장은 “니토덴코가 현 상황의 최종 결정권을 가졌으니 다카사키 히데오 대표이사가 나와야 한다”며 “일본 본사 대표이사가 출석하는 게 어렵다면 이배원 한국니토옵티칼 대표이사 겸 일본니토덴코의 한국 거점 담당 임원의 출석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태가 장기화해 답답한 건 국회도 마찬가지다. 이미 환노위는 지난해 고용노동부 국정감사에서 오요안 한국니토덴코 대표이사를 불러 고용승계를 촉구했지만 큰 성과는 없었다. 환노위 여당 의원실 관계자는 “환노위에 청원이 배정될 것으로 보이는데 (야당과) 합의를 해야 할 뿐더러 본사와는 연락이 되지 않고 한국(한국니토옵티칼)도 국회와 소통을 거부하고 있다”며 “노동부를 통해서 (고용승계를 해야 한다는) 뜻은 전하고 있지만 회신은 오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을지로위원회 산하에 ‘한국옵티칼 고용승계 TF’까지 꾸리고 사안에 대응하고 있지만 녹록지 않다. 지난 3월 한국니토옵티칼을 찾아갔다가 문전박대를 당했던 을지로위 소속 의원실 관계자는 “만나려고 하면 ‘우리는 한국이고 일본이랑 이야기하라’고 나오니까 갑갑하다”며 “소통 라인도 뚫어보려고 하고 찾아가 보고 했는데 안 만나주더라. 우리도 투쟁을 같이하고 있다”고 말했다.
어렵사리 한국니토옵티칼을 청문회에 불러도 책임을 회피하는 장면이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다른 을지로위 관계자는 “이 문제는 결국 본사인 니토덴코의 태도가 변해야 한다”며 “쉽지는 않지만 문제 해결을 계속 시도해 볼 생각”이라고 했다. 한국니토옵티칼이 고용승계를 결정하기 어렵다면 외교 등 다양한 수단을 함께 동원해 탈출구를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우원식 국회의장도 지난 12일 일본 이시바 시게루 총리에게 친서를 보내고 한국옵티칼하이테크 고용승계 문제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