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의 중재로 시작한 쿠팡 배달앱 분야 사회적대화가 순탄치 않다. 입점업체 관련 논의만 일부 진전했고, 배달노동자 의제는 공전하고 있다. 노조는 쿠팡이 배달노동자 안전운임제 도입과 유상운송보험 의무가입 등 요구에 소극적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을지로위원회에서 쿠팡 배달앱 사회적대화를 담당하고 있는 이강일 민주당 의원은 20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 브리핑에서 “쿠팡이츠가 이번달 31일 종료되는 포장수수료 무료 정책을 1년 연장하기로 합의했다”며 “어려운 시기에 포장수수료 유료화까지 이어지면 자영업자들의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는 호소가 이어지는 가운데 쿠팡이츠와 심도 있게 논의한 결과”라고 밝혔다.
쿠팡은 을지로위원회, 소상공인·배달노동자·시민단체들과 지난달 25일부터 세 차례 사회적대화를 진행했다. 네 차례 사회적대화를 연 뒤 합의문을 발표하는 것이 내부 목표였으나 주요 의제에서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입점업체들은 포장수수료 무료정책 유지뿐 아니라 배달중개수수료 최고 한도를 5% 이내(현행 9.8%, 다음달부터 7.8%)로 설정하고, 직접배달(사장님 배달)도 도입해야 한다고 사회적대화에서 주장하고 있다. 합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사회적대화를 시작한 뒤 배달노동자들 관련 논의는 공회전했다. 배달노동자들과 쿠팡은 안전운임제 도입과 배달라이더 유상운송보험 의무가입, 악천후(태풍경보·홍수경보 등) 상황시 단계적 배달제한 등을 논의했으나 입장차만 확인했다. 구교현 공공운수노조 라이더유니온지부장은 “라이더들의 안전과 관련한 기본적인 사항을 요구하고 있고, 현재 단체교섭을 하고 있으니 방향성이라도 이야기하자고 (노조는) 물러섰으나 성과가 없다”며 “(지금까지 교섭에서 요구하던 사안이라) 쿠팡이 사전에 알고 있는 건데도 계속 검토가 필요하다는 수준으로만 일관해 유감”이라고 말했다.
배달노동자들은 내부 요구안을 다시 정리해 쿠팡에 보내기로 한 상태다. 홍창의 배달플랫폼노조 위원장은 “쿠팡은 배달노동자들의 요구안을 경쟁사가 실시하지 않으니까 우리도 어렵다고 하는데, 경쟁사가 있다고 하더라도 사회적대화에 나온 이유가 있을 것 아니냐”며 “사회적대화에 나온 만큼 책임 있는 협약이 이뤄질 수 있도록 답변을 줘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