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국회의장과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장실에서 열린 국회의장 주재 국정협의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
▲ 우원식 국회의장과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장실에서 열린 국회의장 주재 국정협의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

여야 원내지도부가 10일 국정협의회 여야 회동을 열고 연금개혁과 추경(추가경정예산) 등을 논의했지만 30분 만에 파행했다. 국민의힘은 더불어민주당이 연금개혁 소득대체율(받는 돈) 43%를 수용하지 못하겠다고 밝히자 결렬을 선언하고 자리를 떴다. 민주당은 정부·여당이 추경 규모와 시기 등 구체적인 안을 내놓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 등 여야 원내지도부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로 국정협의회 여야 회동을 열었지만 빈손으로 돌아갔다. 박형수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회의 중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이 지난번에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43%를 받는 것을 전제로 당내 의견을 모아보겠다고 했는데, 오늘 와서 43%를 도저히 받을 수 없다고 한다”며 “(민주당이) 연금개혁 문제를 완전히 원점으로 되돌렸기 때문에, 우리 당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이 ‘추경 부분도 다 같이 논의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고 전했다.

국민의힘이 자리를 뜬 뒤 우 의장과 30여분간 추가로 대화를 나누고 회의장 밖으로 나온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오늘) 추경에 대한 정부·여당의 입장을 듣고자 했다. 세부 내역까지는 몰라도 전체 규모와 실시 시기에 대해서는 답을 들을 거라고 생각했다”며 “(추경을 위한) 실무협의를 금주 중에 개최하자는 의장의 제안에도 (국민의힘은) ‘정부와 협의해 보겠다’는 답변을 남기고 자리를 떠났다”고 말했다. “추경 실시는 거듭 합의됐다는 게 확인되지만 구체화에 있어서는 아직도 갈 길이 멀지 않나 싶다”고 덧붙였다.

12·3 내란사태 이후 출범한 국정협의회가 연일 제자리걸음하며 입장 차만 확인하고 있는 셈이다. 윤석열 대통령 석방 이후 여야의 갈등이 격화해 향후 국정협의회 일정도 불투명한 상황이 됐다. 진 정책위의장은 “(여당이) 이야기를 나누다가 일어나 버렸는데 (날짜를) 어떻게 잡냐”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