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이 마무리된 가운데, 국민의힘 지도부가 “헌법재판관이나 국민이 대통령의 진정성을 이해해주길 바라고 그럴 것이라 생각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야당은 윤 대통령 복귀의 꿈을 놓지 못하는 여당에 “정신 차리라”며 날을 세웠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6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이) 계엄과 관련해 어려움을 준 부분을 사과했고, 전반적으로 평가할 때 전날 최후변론은 굉장히 긍정적이며 국민께 호소력 있을 거라 평가한다”며 “새롭게 사회가 변한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한 계엄을 강조했기 때문에 그런 얘기를 한 게 옳은 말씀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거대 야당의 폭거’ 때문에 비상계엄을 선언했다는 윤 대통령의 주장과 연결된다.
윤 대통령은 최후변론에서 직무 복귀를 기대하며 “잔여 임기에 연연해하지 않고 개헌과 정치개혁을 마지막 사명으로 생각해 87체제 개선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는데, 국민의힘도 이 뜻에 공감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통합 메시지가 나오지 않았다’는 기자들의 질문에 “한 시간 남짓 되는 최후변론 중 모든 걸 다 담을 수 없겠지만 (윤 대통령이) 사회·헌법 체제 문제를 말씀했다”며 “통합해서 발전해 가기 위해서 개헌을 고민하는 거니까 통합이라는 단어가 없다고 해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윤 대통령 탄핵에 찬성표를 던진 국민의힘 비주류 의원들과 조기 대선 주자로 꼽히는 인물들도 수위를 조절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더 이상의 혼란은 안 되고, 민주주의 역사와 국민을 돌아보고 예정된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면서도 “임기 단축 개헌을 하겠다는 선언이 돋보인다”고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언론 인터뷰를 통해 “최후진술을 들으며 공감되는 부분도 꽤 있었다”고 평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는 메시지를 내지 않고 침묵했다.
야당은 윤 대통령의 최후진술을 “마지막까지 거짓말과 궤변으로 일관했다”고 봤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윤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을 지킬 의사가 없다는 것이 명백하고, 이런 자에게 다시 군 통수권을 맡긴다는 건 상상도 할 수 없다”며 “헌법재판관들은 오직 헌법과 양심에 따라 파면 결정을 내려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여당에는 사법부 부정에 대한 사과를 요구했다. 박 원내대표는 “늦었지만 헌재 결정에 무조건 승복하겠다는 뜻을 공개적으로 밝히고, 헌법과 법률을 부정했던 그간 언행에 국민에게 사과하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