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산업 관계자들과의 간담회를 연이어 개최하며 정책 경쟁에 몰두하고 있다. 여야가 조기대선을 겨냥해 경기 부양책을 찾는 모습을 보여주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국민의힘은 5일 오전 경기도 평택시에 위치한 고덕변전소를 찾아 AI 혁명을 위한 전력망 확충 현장 방문·간담회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AI 산업은 전기 먹는 하마”라며 전력망을 확충하는 이른바 ‘에너지 3법’ 통과를 재차 강조했다.
방점은 기업 지원에 찍혀 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대한민국 경제 재도약을 위한 정책간담회 1탄 건설산업 경청회’에 참석했다. 정책간담회는 이날 건설산업을 시작으로 6일(조선)·7일(항공)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간담회에서는 워크아웃 건설사의 모기업이 자산을 팔 때 법인세 부담을 완화하는 내용을 담은 조세특례제한법 개정 필요성이 강조됐다.
더불어민주당도 이날 오전 국회에서 ‘트럼프 2.0 시대 핵심 수출기업의 고민을 듣는다’는 제목으로 종합토론을 열고 재계 관계자들을 불러 기업의 어려움을 들었다. 민주당의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은 지난달 13일 반도체를 시작으로 2차전지·자동차·중소중견기업 관계자들과 연속간담회를 열어왔다. 이재명 대표는 종합토론에 앞서 “이제는 민간의 역량이 정부 역량을 뛰어넘는 선진국 대열에 들어섰기 때문에 사실 정치권과 행정 관료들의 역량만으로는 해결책을 찾아내기가 쉽지 않다”며 “여러분들이 필요로 하는 것들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신속하게 만들어내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다만 민주당은 공공성을 챙기는 행보도 보였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민주당 민생경제회복단이 주최한 ‘멈춰선 에너지 전환, 전력산업의 길을 찾다’ 현장·전문가 간담회에서 “전력산업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기 위한 법과 제도의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에너지 전환 과정을 공공이 주도하기 위해 R&D 등 예산을 확충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고, 민주당도 ‘기후 추경’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야당 간사인 허영 민주당 민생경제회복단장은 “에너지 전환, 전력산업 공공성 강화와 해상풍력 사업 확대 등이 대한민국 미래를 좌우할 핵심 어젠다인 만큼 국회도 추경을 통한 예산 확보와 입법, 제도개선을 충분히 뒷받침하겠다”고 약속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