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내란사태의 진상을 밝히기 위한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내란 국조특위)’가 군 수뇌부 80여명을 증인으로 출석시키며 활동을 본격화했다. 증언을 종합하면, 군 수뇌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내란계획을 지난해 10월부터 인지하고 있었으며 사태 당일 문을 부수고 국회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내란 국조특위 전체회의에서 “비상계엄을 언제 처음 알았냐”는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지난해) 10월1일부터 들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10월1일은 국군의날 행진이 열린 날로, 곽 전 특수전사령관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등은 일정을 마치고 한남동 관저에서 윤 대통령과 식사했다. 비상계엄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전하자 “김 전 장관이 대통령께서 직접 말씀하셨다고 하시면서 대대급 이하 강하수당을 좀 빨리 올려주라고 얘기했다”고 곽 전 특수전사령관은 말했다.
“대통령은 체포의 ‘체’자도 쓰지 않았다”는 윤 대통령측의 강변에 곽 전 특수전사령관은 “왜 그렇게 말하시는지 모르겠는데 저는 지금까지 사실 그대로 말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는 “계엄이 있었던 날 ‘국회 (비상계엄 해제) 의결정족수가 안 채워진 것 같으니 문짝 부수고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전화를 받지 않았냐”는 백혜련 민주당 의원의 물음에 “그렇다”며 “(받은) 지시를 사실대로 말씀드렸다”고 답했다.
지난달 3일 군이 실탄을 포함한 탄약 18만8천389발을 탄약고에서 꺼냈다는 주장도 나왔다. 민홍철 민주당 의원이 육군특수전사령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1공수특전여단 5만400발, 3공수특전여단 4만3천268발, 9공수특전여단 8만8천127발 등 총 18만8천389발이 불출됐다. 부대별 불출 탄약의 정확한 규모는 국방부가 파악해 재보고하기로 했다.
내란 국조특위는 이날 윤 대통령을 비롯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한덕수 국무총리,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등 76명을 22일 1차 청문회 증인으로 부르는 안건을 의결했다. 이날 오후까지 여야는 청문회 증인을 두고 협의했으나 의견접근하지 못했고, 안건은 재석 총 18인 중 찬성 11인 반대 7인으로 가결됐다. 반대표를 던진 여당 의원들은 “쌍끌이, 막무가내, 모욕주기식 증인 신청”이라고 비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