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국회소통관에서 송정현 택배노조 쿠팡 일산지회장이 해고노동자 원직복직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의 캠프 출입제한 조치로 해고된 송정현 택배노조 쿠팡 일산지회장이 원직복직을 촉구했다. 송 지회장을 비롯한 3명의 택배노동자는 2023년 7월 노조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쿠팡 캠프 내 출입을 제한받았다. 입차 제한을 받으면 배송업무가 불가능해 사실상 해고 통보나 다름없다.

택배노조는 14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입차 제한 해고자 원직복직을 요구했다. 쿠팡이 대법원 판결을 무시하고 여전히 해고노동자들을 방치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대법원은 지난해 12월 CLS 사측이 송 지회장 등을 상대로 제기한 출입방해금지 소송에서 사측 승소를 판결한 2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CLS는 출입제한을 해제했지만 송 지회장 등은 여전히 일을 하지 못하고 있다. 택배기사와의 위수탁계약은 대리점 권한이라는 이유다. 하지만 원청인 CLS의 적극적 개입이 없다면 복직이 불가능하다는 게 택배노조 입장이다. 출입제한 후 대리점은 다른 기사에게 업무를 배정했다. CLS가 해당 대리점에 추가 구역을 배정하지 않으면 대리점이 해고자들에게 택배업무를 줄 수 없다.

송 지회장은 “원청이 회사 출입을 금지하는데 회사 안에 있는 하청이 어떻게 일을 시킬 수 있냐”며 “노조활동을 업무 외 활동으로 규정하고 캠프 출입을 제한한 것은 명백한 해고”라고 주장했다.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쿠팡은 생계수단을 잃어버리고 노동 3권을 박탈당한 노동자 상황을 신속히 해결하라”며 “그렇지 않으면 21일 환경노동위원회 쿠팡 청문회에서 강도 높은 지적과 문제해결을 촉구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