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여당 의원들이 6일 서울 용산구 윤석열 대통령 관저 앞에서 입장을 밝히고 있다.
▲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여당 의원들이 6일 서울 용산구 윤석열 대통령 관저 앞에서 입장을 밝히고 있다.

12·3 내란사태 관련 국민의힘의 기류가 달라졌다. 국회 밖으로 움직이며 한층 당당하게 윤석열 대통령을 비호하는 모습이다.

국민의힘 의원 40여명이 6일 오전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 집결해 “원천무효인 사기탄핵이 진행되지 않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해 싸워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기현·임이자·김위상·구자근·박대출·송언석·이만희·임종득·윤상현 등 영남 지역구 의원들이 대거 포함됐다. 국민의힘 의원 108명의 3분의 1을 넘는 규모다.

김기현 의원은 기자들에게 “불법적인 수사 주체, 또 형사소송법의 명시된 조항에 위반된 압수수색 영장은 무효로 이것을 저지할 권리가 모든 국민에게 있다”며 “(공수처는) 직권남용이라는 꼬리를 수사할 권한을 줬더니, 꼬리 권한을 가지고 몸통을 흔들겠다고 하는, 본말이 전도된 궤변 주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 업무를 경찰에 일임하겠다고 밝히며 이날 의원들과 공수처가 충돌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이들이 보여주는 ‘윤 대통령 방탄’ 액션은 최근 발표되는 정당 지지율과 연관이 깊다. 보수층 결집이 지지율과 여론전 등에 유리할 수 있다는 의견이 확산하는 모양새다. 이날 리얼미터가 발표한 정당 지지율 조사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전주 대비 3.8%포인트 증가한 34.4%로 나타났다. 12·3 내란사태 이전인 지난해 11월 4주(32.3%)와 비슷한 수준이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매주 조금씩 상승하고 있다.

지도부는 일단 선을 그었다. 이날 오전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비상대책위원회 후 기자들과 만나 “지도부가 지침을 주거나 한 것은 아니”라며 “자발적으로 가겠다는 의원들이 갔고,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을 했는지 보고받은 바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비대위원인 임이자 의원과 권영세 비대위원장의 비서실장인 강명구 의원도 관저 앞으로 향한 만큼 사실상 지도부가 행위를 묵인한 셈이 됐다.

지도부도 공식 행보로 윤 대통령 두둔에 힘을 보탰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헌법재판소를 항의방문해 김정원 헌법재판소 사무처장과 면담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항의방문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회에서 통과된 탄핵소추안을 보면 첫 문장에 (윤 대통령이) 내란 행위를 했다고 하고, 내란이란 말이 38번이나 나온다”며 “(국회측 주장처럼 심판청구에서) 내란죄를 빼면 탄핵소추의 중요한 사정을 변경하는 것이기 때문에 탄핵소추는 성립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키워드

#내란 #탄핵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