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2차 출석 요구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자 야당이 한목소리로 즉각 체포를 촉구했다. 수사 관행상 공수처가 3차례까지는 기다린 후 체포를 선택지에 올릴 공산이 크다.
윤 대통령은 25일 오전 정부과천청사 공수처 검사실로 출석해 12·3 내란사태 관련 조사를 받으라는 공수처의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윤 대통령의 수사 변호인단 구성에 관여하는 석동현 변호사(법무법인 동진)는 이날 기자들에게 서울 서초구 사무실에 출근하지 않는다고 안내했다.
그는 전날 자신의 사무실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27일에 (헌법재판소) 변론준비기일 절차가 있는 것과 관련해 (성탄절 이후) 입장이나 대처가 있을 수 있다”고 말한바 있다. 공수처 조사를 거부하면서 헌재 변론준비에 무게를 싣겠다는 계획으로 풀이된다. 다만 윤 대통령은 아직까지 헌재가 요구한 포고령과 국무회의록 등 서류도 제출하지 않고 있다.
야당은 “내란수괴 피의자가 지금 (수사기관을) 쇼핑하는 것인가”라고 반발했다. 이날 오전 조국혁신당은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과 정부과천청사 정문 앞에서 각각 기자회견을 열고 윤 대통령 체포를 촉구했다. 김선민 당대표 권한대행은 “현행범인데다 증인이 즐비한 내란 사건 피의자가 수사기관 출석 통보를 스팸 문자처럼 대한다”며 “대한민국 국민 가운데 누가 자기 수사와 재판 순서를 정하냐”고 따졌다. 그러면서 “윤석열 개인 핸드폰을 반드시 확보하고, 내란에 연루됐을 것으로 국민 모두 의심하는 배우자 김건희씨 핸드폰도 압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수처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오전 브리핑을 통해 “반복되는 출석요구와 수사 지연은 공수처에 대한 국민의 불신만 초래하는 것”이라며 “공수처는 윤석열 내란 사건의 엄중함을 직시하고 즉시 내란수괴에 대한 체포와 구속 수사를 진행하라. 그것이 공수처에 주어진 명령이자 공수처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진보당은 공수처에 윤 대통령 체포를 요구하는 장외 집회를 열었다. 김재연 상임대표는 이날 오후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서 열린 ‘내란수괴 윤석열 체포대회’에서 “‘윤석열 체포’는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내란 세력의 준동을 제압하는 선결적 조치”라며 “지연전술 저지와 윤석열 신병확보가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