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정국의 혼란을 수습하기 위한 여야정협의체가 26일 열린다. 여야가 신경전을 벌였던 참여 주체의 경우 첫 회의는 여야 당대표가 참여하고, 이후에는 원내대표가 논의를 이어 갈 예정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23일 오전 국회의장실에서 우원식 국회의장의 주재로 열린 회동에서 이렇게 합의했다. 여야정협의체 첫 회의에는 권 원내대표와 이재명 민주당 당대표, 우 의장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참석한다. 향후 다뤄질 의제와 참석 범위 등은 이날부터 우 의장과 여야 각 2명씩이 참석하는 실무협의에서 논의하기로 했다.
민주당은 여야정협의체에서 추경을 우선 의제로 꺼내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여야가 한 대행 탄핵과 헌법재판관 인선 등을 두고 사사건건 서로에게 날을 세우는 상황이라, 여야정협의체의 지속성은 장담할 수 없다. 야당은 24일 국무회의에서 한 권한대행이 이른바 ‘내란특검법’과 ‘김건희 특검법’을 공포하지 않으면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한 상태다.
회동에서 여야는 본회의를 오는 26일과 31일에 열기로 했다. 야당은 합의한 날짜 외에도 12·3 내란사태 진상규명을 위해 추가로 본회의를 열어야 한다며 27일과 30일(안건 심의), 다음달 2·3일(대정부질문) 본회의 일정을 추가하는 안을 이날 오후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단독 의결했다. 국민의힘이 추가 본회의를 거부하는 상황이라 야당 안을 의사일정에 반영할지는 우 의장이 결정하게 된다. 박형수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전 회동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연말에 민생 법안 처리에 집중해야지 대정부질문을 계속해서 여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야당이 한 대행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26일 본회의에 보고한 뒤 표결을 추진한다면 여야정협의체가 순탄하게 흘러갈 가능성은 낮아진다. 이날 오전 각각 진행된 국민의힘 원내대책회의와 민주당 최고위원회에서도 한 권한대행의 특검법 공포와 야당의 탄핵 시사가 화두였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야당은 탄핵했어야 할 총리에게 대통령 권한대행 직무를 맡겼다는 것인데 넌센스를 넘어 직무유기를 자인하는 것”이라며 “총리 탄핵이란 칼을 목에 들이대고서 민주당이 원하는 대로 해 주지 않으면 찌르겠다는 탄핵 인질극”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은 특검법을 공포하지 않는 “내란 잔당” 한 권한대행을 두고 볼 수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에서 “한 총리와 권 원내대표의 내란 수사 지연 전술은 내란의 완성, 제2의 내란 획책 행위라 해도 무방하다”며 “국민이 피를 흘리든 말든, 나라가 망하든 말든 상관없다는 철면피가 아니고서야 도저히 할 수 없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