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불 성과급 지급과 인력감축 중단을 요구하며 나선 철도노조의 파업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8일 노조 관계자는 “임금체불과 성과급 정상화 관련 기획재정부의 입장 확인은 없다”며 “물밑 접촉 등 노사교섭도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노조는 체불 성과급 231억원 지급을 포함해 정부 임금가이드라인 2.5% 수준의 기본급 인상, 외주화와 인력감축 중단, 4조2교대 개편 등을 요구하며 지난 5일 파업에 돌입했다.
노조의 요구사항 대부분 정부 재정 투입과 정책 의지가 있어야 가능한 것으로, 노조는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의 전향적인 입장 변화를 요구하는 상황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현재 철도파업으로 인한 철도 운행률은 평소 대비 77.7% 수준이다. 정부는 시민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이유로 군 300여명을 대체인력으로 투입한 상태다.
노조는 “노동자의 파업에 군대를 동원하는 건 사회적 통념상 맞지 않다”며 “군대 철수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정치파업이라는 일각의 주장에 노조는 현재 진행 중인 파업이 노사 임금·단체협상 결렬에 따라 쟁의조정권을 획득해 시행하는 합법적인 파업이라고 선을 그었다. 노조는 “파업 중 경우에 따라 윤석열 탄핵 집회에 참석하기도 하지만 시민의 일원으로 참여하는 자율적 행위”라며 “정세와 우연히 결합됐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9일 오후 서울역 앞에서 철도파업 지지 정당 및 시민사회 문화제를 진행할 계획이다.
김문수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서 ‘노동상황 점검 주요 기관장 회의’를 열고 “철도노조의 파업이 4일 차에 접어들면서 국민의 불편이 누적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노사가 조속히 교섭을 재개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