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소속 공무직 노동자들이 임금인상 등을 요구하며 쟁의행위를 예고했다.
공공연대노조 고용노동부본부와 여성노조 고용노동부지부는 26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고용노동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년째 계속되는 공무직의 열악한 근로조건 개선을 위해 노조는 전향적인 마음으로 올해 임금·단체교섭에 임했으나 노동부는 공무직의 삶을 외면했다”고 주장했다. 두 노조의 조합원은 직업상담원·1350 전화상담원·통계조사관·시설관리원 등 노동부 공무직들이다.
노조와 노동부는 지난 3월 상견례를 시작으로 3차례의 본교섭과 8차례의 실무교섭, 4차례의 실무협의를 진행해 왔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노조는 임금 8% 인상, 임금체계 개편을 위한 예산편성, 민원수당·명절휴가비 차별 해소 등을 요구했다. 노동부의 대다수 공무직 임금체계엔 호봉과 승진제도가 없어 오래 일해도 신입과 임금에 큰 차이가 없다. 공무원은 받고 공무직은 못 받는 민원수당 신설도 주요 요구 중 하나다.
노동부는 임금인상률 3~3.2%를 제시하고, 임금체계 개편과 민원수당 신설은 예산이 부족하다며 난색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명순 고용노동부지부장은 “올해만큼은 교섭에 최대한 협력하고자 수많은 인내심을 발휘하며 참고 또 참았지만 6개월 동안 교섭을 했음에도 조합원들에게 내보일 수 있는 게 없다”며 “공무원과 똑같이 일하면서 받지 못하는 민원수당, 10년을 일해도 지금 입사해도 임금이 똑같은 구조를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노조는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거쳐 28일부터 노조 조끼 입기 등 준법투쟁에 나서겠단 계획이다. 이영훈 공공연대노조 위원장은 “자신이 관할하는 부처 약자들의 차별과 예산 문제도 해결하지 못하는 장관이 어떻게 노동자 전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건가”라며 “이제는 대화와 설득으로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고용노동부 공무직 열악한 근로조건’ 등이 적힌 손피켓을 노동자들이 부수는 퍼포먼스로 마무리됐다. 노조의 주장에 노동부 관계자는 “기획재정부에서 예산이 내려온 범위 내에서 최선을 다해 교섭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