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원을 받아 해외로 취업한 사람 2명 중 1명은 다시 한국으로 돌아온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 수준과 고용안정성, 경력개발 가능성, 복지 수준이 낮다고 느낀 탓이다.
19일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한국산업인력공단으로부터 받은 ‘해외취업자 사후관리 설문조사 최종보고서’를 보면,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정부 지원을 받은 해외취업자는 6천715명인데, 3천129명(46.6%)이 국내로 돌아왔다. 정부는 산업인력공단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정착지원금·연수 등을 통해 구직자들의 해외 취업을 돕고 있다.
국내로 복귀한 사람들의 평균 연령은 29.9세다. 주로 사무종사자(47.9%)였다. 그 외에는 서비스·영업직(17.6%), 기타(15.9%), IT기술자(12.6%)가 차지했다.
해외취업자가 해외 취업에 만족하지 못한 요인은 한국 대비 낮은 임금 수준(14.7%), 낮은 고용안정성(11.4%), 경력개발 가능성이 낮은 직무(10.6%), 한국 대비 낮은 복지 수준(10.1%), 근로시간을 비롯한 근무환경(9.4%) 등이다. 승진과 임금 등에서 자국민과 차별을 당했다는 응답(7.4%)도 있었다. 12%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자 중 56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면접조사(FGI)에서 해외취업자들이 밝힌 어려움은 나라별로 달랐다. 일본에 취업한 사람들은 높은 세금과 비싼 집세, 사회 초년생에 대한 낮은 임금을 꼽았다. 미국·싱가포르 취업자들은 높은 물가, 독일 취업자들은 높은 세율이 만족스럽지 못했다고 밝혔다. 2018년부터 작년까지 국내 복귀가 가장 많은 나라는 미국(40.6%)과 일본(20%)이었다.
강 의원은 “해외 체류기간 동안 국내 신용정보가 없어 금융거래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나, 해외경력 인정 절차 등 국내 복귀자 사후관리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