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의료노조

혈액관리 사업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헌혈의 집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일·가정 양립을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준현 건강정책참여연구소 소장은 12일 오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국민에게 신뢰받는 대한적십자사 혈액사업 공공성 강화를 위한 토론회’에서 “정부의 혈액 관리 책임은 지금보다 한층 강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회는 보건의료노조와 이수진·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주최했다.

정부는 혈액 관리 사업을 보건복지부 산하기관인 대한적십자사와 ㈔대한산업보건협회에 맡겨 왔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혈액은 매매가 금지돼 있고 헌혈자의 무상 기여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공공재적 특성을 가진 만큼 채혈 목표를 세우는 등 혈액 사업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대안 모색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우리나라의 헌혈자는 늘 부족한 실정이다. 대한적십자사의 혈액사업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헌혈 횟수는 277만건으로, 5년 전(2018년)보다 약 3.7% 감소했다. 헌혈에 동참한 국민은 약 13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5.4%에 불과하다.

김 소장은 혈액관리 사업을 공공의료 대상으로 포함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공공보건의료법)을 개정해 혈액 관리에 필요한 인력과 시설의 관리, 수혈자에 대한 지원, 공중보건 위기 상황시 대응 등에 대한 계획을 국가가 세우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헌혈을 더 많이 받기 위해 헌혈의 집 노동자들이 야간 노동을 해야 하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헌혈의 집은 평일 오전 10시에서 오후 8시까지 운영된다. 헌혈의 집에서 일하는 간호사들도 오전 10시에 출근해 오후 8시에 업무를 마무리한다. 운전직은 오전 9시에 일을 시작해 오후 9시에 마친다. 정연숙 노조 대한적십자사본부지부장은 “직원의 일·가정 양립을 저해하는 업무 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의원들은 법 개정 노력을 약속했다. 김윤 민주당 의원은 “혈액 공급을 공공적인 영역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제안을 했는데 마침 준비 중인 공공보건의료법 개정안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이수진 의원도 “대한적십자사 혈액원은 국가 혈액 관리 사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공공의 영역에서 책임을 다해 왔으나 정부 지원은 미흡하다”며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으로서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