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정기훈 기자

주요 발주처와 대형 건설사를 대상으로 다단계 하도급 폐지와 직접계약을 요구하는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노동자 파업이 3주를 넘어서며 장기화하고 있다. 노조는 건설공사가 재개되는 장마철 이후에도 파업을 유지하면서 건설사를 압박한다는 계획이다.

14일 전국타워크레인설·해체노조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시작한 노조 파업은 이날로 21일째 접어들었다. 노조는 파업 기간 중 야당과 함께 다단계 하도급으로 이뤄지는 타워크레인 설치·해체업무의 위법성을 알리는 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현장실태를 널리 알리는 데 주력했다. 국토교통부는 해당 업무가 다단계 하도급 금지 대상이 아니고, 원청 직접고용에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비록 노조 요구 모두를 거부했지만 정부의 공식 입장은 확인했다.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업무는 건설기계(타워크레인) 임대사업자와 설·해체 사업자가 용역 또는 도급계약을 맺는 형태로 이뤄진다. 설·해체 사업자는 노동자들과 함께 움직이는 팀장 역할도 한다. 노조와 타워크레인 설·해체 팀장협회는 파업 이후 처음으로 지난 13일 교섭석상에서 마주했다. 노조는 하루 만에 이뤄지는 설치 업무의 작업일수를 이틀로 연장하고, 임금인상을 요구했다. 교섭을 타결하기 위해 노조 요구안을 받아 든 팀장협회가 임대사와 협의를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노조는 진짜 사용자에 해당하는 건설사와 주요 발주처를 대상으로 다단계 하도급 해소 요구를 하기로 했다. 협상력을 올리고 설치·해체 노동환경을 알리기 위해 전면파업은 계속 유지한다. 노조 관계자는 “중단했던 건설공사가 재개할 시기인 장마철 이후에도 전면파업을 이어 가면서 건설사에 노조 목소리를 전달하겠다”며 “대형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원청 직접계약을 강력하게 요구하는 투쟁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