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레미콘 노사가 올해 운송료를 정하기 위해 권역별 교섭에 들어간다. 노조는 지난 1일 시작한 휴업(파업)을 중단하고 4일부터 업무에 복귀했다.

4일 레미콘운송노조에 따르면 레미콘 운송료를 정하기 위한 교섭이 5일부터 권역별로 시작된다. 노조는 수도권 시멘트 제조사를 상대로 통합교섭을 요구하며 지난 1일 운송을 중단했다. 산별교섭 성격의 통합교섭을 거부하던 제조사들은 권역별 교섭을 제안했고, 노조가 수용했다.

노조는 수도권에 14개 권역을 조직해 놓고 있다. 제조사들은 12개 권역을 제시했다. 권역당 제조사 20여곳이 교섭단을 꾸려 노사교섭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노조 관계자는 “노동위원회가 레미콘기사를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상 노동자가 아니라고 판정한 이후 제조사들은 통합교섭에는 절대 나오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여 왔다”며 “교섭장에 앉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고, 권역별 교섭에서 통합교섭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레미콘 노동자와 회사 간 1 대 1 협의, 혹은 기업단위 교섭이 이뤄지는 것은 막았다고 평가했다.

노조는 운송료 협상과 별개로 노조법상 노동자로 확인받기 위한 후속 대응을 준비한다. 중앙노동위원회와 경기지방노동위원회는 노조가 제기한 ‘교섭요구 사실의 공고에 대한 이의신청’을 기각 결정했다. 레미콘 기사는 노조법상 노동자가 아니라는 취지에서다. 노조는 전국단위 노조로 조직전환을 하겠다며 2021년 12월 노조설립을 신고했지만 노동부는 신고증을 주지 않고 있다. 노조는 노동위 결정에 불복하는 행정소송 혹은 설립신고증 미교부에 대한 법률 대응을 검토하고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