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K금융그룹 핵심 계열사인 OK저축은행이 DGB금융지주 최대주주로 등극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금융당국의 감독 묵인이 있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소비자 피해 우려가 있는데도 대부업체를 운영했고 금융당국이 눈감아줬다는 지적이다.

사무금융노조(위원장 이재진)와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은 3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금융당국은 대부업·저축은행·시중은행으로 이어지는 OK금융그룹의 무차별 업역 확대와 성장을 둘러싼 의혹을 명명백백히 밝히라”고 촉구했다.

OK금융은 2016년 저축은행을 인수한 뒤에도 기존 사업인 대부업을 포기하지 않아 논란이 된 바 있다. 저축은행이 대부업체 자금조달 창구가 될 수 있고, 고객알선 등 소비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국회에서 나왔다. 금융위는 저축은행 인가를 취소하지 않고 ‘인가요건 충족 명령’을 내렸고, OK금융그룹은 대부업 처분에 들어갔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최윤(일본이름 야마모토 준) OK금융 회장이 계열사에 일감을 몰아주고 사익을 편취했다는 의혹이 일었다. 지난해 5월 공정거래위원회가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공정거래법) 위반 여부를 살펴보기 위해 조사를 시작했다. 이날까지 조사결과를 발표하지 않고 있다.

대부업으로 시작한 OK금융그룹은 자회사 OK저축은행이 DGB금융지주 최대주주가 되면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DGB금융지주 산하 대구은행은 최근 시중은행으로 승격했다. 신장식 의원은 “금융당국이 늑장 대응하는 동안 OK금융그룹은 몸집을 불렸다”며 “윤석열 정부가 대구은행을 시중은행으로 승격하는 과정에서 OK금융그룹과 OK저축은행, 야마모토 준과 그의 일가에게 특혜를 준 것이 아닌지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노조 OK금융그룹지부는 2021년 12월 시작한 임단협 교섭을 최근까지도 타결하지 못하고 있다. 임금인상안을 제시하지도 않고, 근로시간면제(타임오프) 적용과 사무실 제공 등 노조 활동을 위한 요구안도 거부하고 있다. 박홍배 의원은 “그룹 성장에 기여한 노동자는 홀대하고, 노조를 와해하기 위해 노조활동을 방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재진 위원장은 “일본계 대부업 자본의 납득하기 힘든 성장 과정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지금이라도 금융당국은 면밀히 조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