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고용직 레미콘 노동자와 시멘트 제조사 간 운송계약 종료에 따른 수도권 건설현장 멈춤 사태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인다. 제조사들이 노조와의 통합(공동)교섭에 응하지 않으면서 계약갱신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레미콘운송노조(위원장 임영택)는 2일 “수도권 14개 권역 레미콘 사측은 실질적인 교섭단을 구성하고 통합교섭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지난 4월부터 수도권 레미콘 제조사를 상대로 운송료 협상을 요구했지만 협상·교섭은 성사하지 않았다. 제조사들이 교섭요구 사실을 공고하지 않아 노동위원회에 제기한 이의신청은 기각됐다. 특수고용직 노조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취지다. 그 뒤 노조와 제조사 간 대화는 사실상 단절됐다.
통상 레미콘 노동자와 제조사는 1년 단위로 계약한다. 6월30일이 계약만료일이다. 노조가 계약갱신과 운송료를 통합협상으로 결정하자고 요구했지만 제조사들은 이 역시 수용하지 않았다. 노사는 2022년 운송료 협상 당시 통합협상을 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제조사들은 통합교섭 대신 14개 권역별 교섭을 제안했다. 노조 관계자는 “수도권 레미콘 노동자의 노동조건을 일치시키기 위해 통합교섭이 필요하다는 것이 노조의 생각”이라며 “노동위원회의 노조아님 결정 이후 집단적 노사관계로 보이는 일체의 행위를 하지 않겠다는 것이 사용자측 태도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건설사와 제조사 간 올해 시멘트 단가 인상을 결정했고, 인상분 중 일부는 기사 운송료 인상분으로 활용하면 된다고 판단하고 있다.
노조는 지난달 27일 휴업실시 찬반투표를 벌어 83%의 찬성으로 사실상 파업을 결정했다. 교섭이 이뤄지지 않으면 전면파업을 할 계획이었다. 6월30일 이후 계약갱신이 되지 않으면서 노조는 자연스레 휴업·파업에 들어가게 됐다. 임영택 위원장은 “레미콘 사용자단체는 노조라는 이유만으로 교섭 파행을 조장하지 말고 협상에 나서라”며 “정부도 교섭이 원만하게 타결될 수 있도록 불성실 교섭을 적극 지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