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트 의무휴업일 주말 유지냐, 평일 전환이냐.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 의무휴업일 문제가 전국 곳곳에서 노사관계 갈등 의제로 등장할 조짐이다.
9일 유통업 노사에 따르면 정부는 대형마트 공휴일 의무휴업제도를 폐지하고 영업제한 시간 동안 온라인 배송을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한 달에 2번 있는 공휴일 의무휴업일을 평일도 가능하게 하고, 새벽배송도 허용한다는 의미다. 현재 대형마트는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라 자정부터 오전 10시까지 영업을 할 수 없다. 이런 영업제한 시간에 온라인 배송은 가능하게 만든다는 것이 정부 구상이다.
대구시와 충북 청주시, 서울 서초구·동대문구가 조례와 지자체 고시를 통해 의무휴업일을 평일로 변경한 상태다. 국민의힘 서울시의원은 최근 대형마트 영업시간 제한에서 온라인 배송을 제외하고, 월 2회 공휴일을 평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례 개정안을 발의했다.
마트노조 등 유통업 노조는 공휴일 의무휴업 사수를 올해 핵심 투쟁과제로 내거는 등 반발하고 있다. 지난 3월 의무휴업 사수 선언운동을 선포한 마트노조는 “유통노동자 10명 중 9명이 한 달에 두 번 이상 일요일 출근하고 있다”는 실태조사를 발표하면서 여론전을 본격화하고 있다. 주말휴식 보장 입법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재계도 여론전에 가세하고 있다. 대한상의는 이날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을 평일로 바꾼 서울 서초구·동대문구, 충북 청주시의 소비자 5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만족도 조사 결과를 내놨다. 81%가 평일 변경에 만족하고, 불만족 응답은 1.2%에 불과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의 평일 전환을 다른 지역으로 확대하는 것에 찬성 여부를 물었더니 “53.8%가 찬성했다”고 밝혔다. 조사를 토대로 대한상의는 “소비자 이용편의 및 선택권 보장 측면에서라도 정책방향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동호 유통산업노조 위원장은 “온라인 배송을 무제한 허용하면 유통분야 노동자 다수가 주말과 심야에 일해야 한다”며 “대형마트 의무휴업 사수 등 소극적인 휴식권 보장 요구에서 그치지 않고 주말 휴식의 현실화를 위한 입법 투쟁을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